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JTBC 언론사 이미지

여사 측에 '샤넬백' 최소 2번 전달…'여사-건진' 2차례 통화도

JTBC
원문보기

여사 측에 '샤넬백' 최소 2번 전달…'여사-건진' 2차례 통화도

서울 / 23.4 °


[앵커]

건진법사가 김건희 여사 측에 고가의 샤넬백을 전달한 게 한 번이 아니라 최소 두 번인 걸로 검찰이 파악했습니다. 2022년 4월쯤에 하나, 또 7월쯤에 하나 이렇게 두 개의 샤넬백이 김 여사의 최측근 유경옥 씨에게 전달됐고, 유씨는 두 개 모두 웃돈을 얹어 다른 가방으로 바꾼 걸로 검찰은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김 여사는 이걸 몰랐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먼저 양빈현 기자입니다.

[양빈현 기자]

[JTBC '뉴스룸' (어제) : 통일교 측이 "김건희 여사 선물"이라며 건진법사에게 전달한 것 중 하나가 1천만원을 훌쩍 넘는 '샤넬백'입니다. 이 샤넬백이 김 여사의 비서 유경옥 씨에게 실제 전달된 걸로 확인됐습니다.]

JTBC 보도가 나오자 김건희 여사 측이 몇몇 언론에 입장을 밝혔습니다.


"김 여사의 수행비서 유경옥 씨가 샤넬 가방을 받은 것은 맞지만 김 여사 모르게 건진법사의 심부름을 한 것"이라며 "김 여사는 가방을 받은 적이 없다"고 했습니다.

통일교 측이 "김건희 여사 선물"이라며 건넨 샤넬 가방을 건진법사가 여사의 최측근 수행비서 유씨에게 전달한 사실은 인정한 겁니다.

검찰은 통일교 전 세계본부장 윤모 씨의 처제 명의로 샤넬 가방 최소 2개를 사서 건진법사에게 전달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각각 2022년 4월과 7월쯤입니다.

이 두 가방 모두 김 여사 최측근 수행비서 유 씨에게 전달됐고 유씨가 이를 모두 다른 가방 등으로 교환한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이렇게 웃돈 300만원가량 더해 두 차례 걸쳐 샤넬 가방을 다른 제품들로 바꾼 것도 건진법사의 심부름을 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건진법사가 여사를 보좌하는 수행비서를 여사 모르게 자기 비서처럼 부렸다는 얘기가 됩니다.

수행비서 유씨는 코바나컨텐츠 시절부터 10년 넘게 수행비서를 맡아온 김 여사의 그림자와 같은 존잽니다.

심지어 윤 전 대통령 당선과 함께 대통령실 행정관으로 임용돼 김 여사를 계속 수행했습니다.

2022년 6월 봉하마을 방문 때도 옆에 있었고, 3개월 뒤 김 여사가 디올백을 받을 때도 포착됐습니다.

건진법사도 검찰 조사에서 "유씨에게 전달한 샤넬 가방을 김 여사에게 전달하지 않고 돌려받은 뒤 잃어버렸다"고 진술했습니다.

검찰은 김 여사 측과 건진법사가 유씨 선에서 사건을 정리하려 꼬리 자르기를 위한 말 맞추기를 하고 있다고 의심하고 있습니다.

검찰은 증거 인멸 등에 대한 우려가 있다고 보고 건진법사 등에 대한 구속영장 재청구도 검토 중입니다.

[앵커]

JTBC는 또 윤 전 대통령 취임 이후 김건희 여사와 건진법사가 두 차례 통화했단 사실도 통화내역을 통해 처음 확인했습니다. 두 차례 모두 김 여사가 먼저 전화를 걸었습니다. 이에 대해 건진법사 측은 김 여사가 아니라 김 여사 측과 통화한 거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김영민 기자입니다.

[김영민 기자]

2022년 윤석열 전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 통일교 당시 세계본부장 윤모 씨는 "김건희 여사 선물"이라며 6천만원대 다이아 목걸이, 1천만원이 훌쩍 넘는 샤넬백 등을 건진법사에게 건넸습니다.

이중 샤넬백은 김 여사의 최측근인 비서 유경옥 씨에게 전달된 것이 확인됐는데 검찰은 이들 선물이 여사에게 갔다고 의심하고 있습니다.

검찰의 윤 전 대통령 부부 압수수색 영장에는 YTN 인수, 캄보디아 메콩강 개발 지원 등 사업을 해결하기 위해 선물을 준 정황이 있다는 내용이 들어 있습니다.

선물 전달 시점을 2022년 4월에서 8월 사이로 보고 있다는 점도 적시됐습니다.

그런데 JTBC 취재 결과 검찰은 건진법사의 휴대전화에서 김 여사와의 통화내역도 확인했습니다.

통화 시점은 선물이 전달된 이후인 2023년 1월이었습니다.

검찰이 확보한 통화내역은 두 차례로 먼저 전화를 한 사람은 모두 김 여사 쪽이었습니다.

윤 전 대통령 당선 이후 두 사람 간 통화 내역이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김 여사가 전화한 번호는 2009년 김 여사 명의로 개통해 대통령실에 들어가서도 계속 사용하던 번호였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검찰은 건진법사에게 "김 여사와 2차례 통화한 이유"에 대해 물었는데, 건진법사는 "김 여사와 직접 통화한 게 아니라 김 여사 측과 통화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면서 "통일교와 관련한 통화는 아니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검찰은 구체적인 통화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건진법사 추가 소환과 김 여사 직접 수사 모두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건진법사가 김건희 여사의 최측근에게 고가의 샤넬백을 한 번이 아니라 두 번이나 전달했습니다. 김 여사가 건진법사에게 두 차례 먼저 전화한 사실도 새롭게 확인했습니다. 이은진 기자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이 기자, 이런데도 김 여사는 "몰랐다" 이렇게 주장하고 있어요.

[이은진 기자]

네, 그렇습니다. 양측 주장을 종합해 보면요.

통일교 측이 건넨 '여사 선물'을 '여사 모르게' 건진법사가 '여사의 수행비서'에게 전달했다는 얘깁니다.

여기서 더 나아가서, 여사는 모르게 비서가 건진법사 지시를 받고 300만원의 웃돈을 더해서 두 차례나 다른 샤넬 제품으로 교환했다는 주장입니다.

[앵커]

유경옥 씨는 김건희 여사를 10년 넘게 그림자처럼 수행했던 사람인데, 이런 사람이 게다가 정권 초기에, 김건희 여사 모르게 무속인 건진법사의 지시에 따랐다는 얘기일 텐데 이게 과연 가능합니까?

[이은진 기자]

합리적으로 보면 가능성이 없다고 봐야 할 거 같습니다.

저희는 샤넬백이 전달된 거로 보이는 2022년 4월과 8월 사이를 주목했습니다.

이때는 윤 전 대통령 당선 직후로 대통령실의 기강이 강했던 시점입니다.

바로 이때 2022년 6월에는 봉하마을에 방문한 김 여사를 수행하면서 바로 옆에서 여사의 손가방을 들고 있던 비서의 존재도 시간이 좀 지나서 화제가 됐습니다.

코바나컨텐츠 시절부터 10년 넘게 김 여사를 수행하면서 행정관으로 대통령실에 들어오게 됐다는 겁니다.

디올백을 받을 때 찍힌 영상에도 바로 옆에 서 있어서 또 논란이 되기도 했습니다.

그런 비서가 여사 모르게 이 모든 일을 했다는 건 납득이 잘 되지 않는 부분입니다.

검찰도 그래서 결국 김 여사에게 선물이 갔다고 의심하고 있는 겁니다.

또 김 여사 측이 저희에게 추가로 입장을 전달했는데요. "건진법사가 코바나컨텐츠의 고문이었던 적이 있어서 코바나컨텐츠 직원이던 유 씨에게 부탁해 샤넬백을 다른 제품으로 교환한 것뿐이고 김 여사에게는 전달되지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앵커]

이것 역시 '김 여사는 여전히 몰랐다'는 해명일 텐데, 검찰은 그렇지 않다고 보고 있는 거죠?

[이은진 기자]

네, 앞서 보도해 드렸듯 김 여사가 건진법사에게 직접 두 차례 전화를 건 사실도 확인이 됐지만요.

검찰은 이 밖에도 양측이 주변 수행비서 등을 통해서 소통했을 가능성도 의심하고 있습니다.

김 여사 수행비서들에 대해 자택과 휴대전화 등을 압수수색하고, 배달앱 기록을 포함해 아주 세세한 기록까지 분석하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사실상 수행비서들의 기록이 곧 김 여사의 기록일 수 있다고 보는 겁니다.

[앵커]

그러니까 이 얘기는 김 여사 주변은 모두 수사 대상에 올랐다, 이런 얘기인 거죠?

[이은진 기자]

네, 그렇습니다. 유 씨 등 김 여사 수행비서 2명 자택과 휴대전화 등을 압수수색하고, 배달앱 기록까지 세세하게 분석하는 이유도 두 사람의 기록이 바로 김 여사의 기록일 수 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또 검찰은 지난주 또 다른 수행비서이자 전 대통령실 행정관, 조모 씨를 압수수색하기도 했습니다.

건진법사 쪽은 처남 찰리가 건진법사의 대리인 역할을 했다고 보고 수사선상에 올려둔 상태입니다.

[영상편집 김영석 / 영상디자인 신재훈 오은솔]

양빈현 기자, 김영민 기자, 이은진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