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헤럴드경제 언론사 이미지

[르포] 박봉 월급인데 화장실도 겨우 간다…마을버스 기사는 극한직업

헤럴드경제 안효정
원문보기

[르포] 박봉 월급인데 화장실도 겨우 간다…마을버스 기사는 극한직업

속보
"北, 러시아에 공병 병력 6천명 파견키로"
마을버스로 청파동 누비는 최연소 기사
‘보이지 않는 노동’까지 하루 10시간 운전해도
시내버스 처우 60% 불과한 열악한 업무 환경에
너도나도 마을버스→시내버스·배달업계로 ‘줄행랑’
마을버스 기사 어창열(23) 씨가 지난 4월 29일 오후 서울 중구 만리재로 한 버스정류장에서 헤럴드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마을버스 기사 어창열(23) 씨가 지난 4월 29일 오후 서울 중구 만리재로 한 버스정류장에서 헤럴드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이 기사는 헤럴드경제 회원 전용 콘텐츠 ‘HeralDeep’의 프리미엄 사회 콘텐츠 ‘세상&플러스’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회원으로 가입하시면 더 생생하고 유익한 콘텐츠를 보실 수 있습니다.
“아이씨 또! 아 진짜…. 쯧 정말.”

불쑥 끼어든 오토바이 때문에 급브레이크를 밟게 된 용산 04번 마을버스 기사 어창열(23) 씨의 입에서 험한 말이 튀어나왔다. ‘빵-’ 경적이 순간 승객들의 한쪽 귀를 먹먹하게 할 정도로 울렸다. 그는 서울 마을버스 기사들 가운데 가장 나이가 어리다.

“이런 상황이 하루에 20번씩은 있어요. 오토바이든 택시든 버스 앞으로 훅 들어오는 게 있으면 어찌 됐든 우리는 급브레이크 밟아야 하는데 그러다 승객들이 넘어질 수 있잖아요. 나 혼자 있는 거면 상관없는데 승객들이 탔으니까 더 예민해지는 거죠.”

오토바이와 접촉 사고가 날 뻔한 순간을 피했더니 이번에는 가파른 오르막길이 등장했다. 큰 S자를 그리며 숙명여대와 초등학교, 어린이 보호구역 등을 차례로 지나 다다른 곳은 청파동 만리시장. 시장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어씨는 승객들에게 ‘교행 때문에 잠시 대기하겠다’고 안내했다.

왕복 차량이 동시에 지날 수 없을 정도로 차도가 좁은 데다 도로 양쪽 가장자리마다 주정차 된 냉동탑차, 오토바이 등이 줄지어 있어 기사의 신경이 곤두섰다. 갑자기 무단횡단하거나 차도로 튀어나오는 이들도 피해야 했다. 어씨는 이렇게 서울역 서부에서 출발해 효창공원→대한노인회중앙회→용산경찰서→남영역→숙대입구역 등을 거쳐 다시 서울역 서부로 돌아오는 노선을 하루 7~8시간씩 동안 돈다.


마을버스 용산 04번 노선도. 기사들은 서울역 서부에서 출발해 효창공원→대한노인회중앙회→용산경찰서→남영역→숙대입구역 등을 거쳐 다시 서부역으로 돌아오는 노선을 하루 7~8시간씩 동안 돈다. [네이버 지도 캡처]

마을버스 용산 04번 노선도. 기사들은 서울역 서부에서 출발해 효창공원→대한노인회중앙회→용산경찰서→남영역→숙대입구역 등을 거쳐 다시 서부역으로 돌아오는 노선을 하루 7~8시간씩 동안 돈다. [네이버 지도 캡처]



전장(차량 길이) 9m짜리 중형버스라지만, 폭도 좁고 도로와 인도가 뒤섞인 이면도로를 누비는 건 매일 운전대를 잡는 마을버스 기사들에게도 고역이다.

그들은 ‘시간 압박’에도 시달린다. 어씨는 “교통상황이 어떻고 승객이 얼마나 많이 타고 내리는지에 상관없이 마을버스는 무조건 정해진 시간(50분) 안에 노선을 한 바퀴 다 돌아야만 한다”면서 “한가한 시간대면 5~6분 정도 쉴 수 있는데 출퇴근 시간 같이 승객과 차량이 모두 몰릴 때는 숨 돌릴 겨를도 없이 종점 들어오자마자 다시 나가기 일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식사도 쫓기면서 하다 보니 밥 한 공기 비워내는 데 5분이면 족하다”라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보이지 않는 노동’이 존재한다. 그는 오전 근무조일 경우 첫차 운행 시각인 오전 6시 전까지 차량 가스 충전을 마쳐야 한다. 마을버스 충전소는 도심에 없어서 마포구 상암동에 새벽 4시에 마을버스를 몰고 다녀온다.

어씨는 “삼각지역 인근 차고지에서 차를 끌고 상암동에 있는 충전소에 가서 가스를 채운 뒤 서울역 서부로 도착하는 ‘강행군’이 오전 근무에 숨어있다”면서 “순수 운행시간만 따지면 7~8시간인데 이런 시간까지 따지면 사실상 10시간 남짓 일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1종 대형면허를 따고 운전병으로 군 복무를 했다는 그는 지난해 초 전역하고 몇 달 택시기사로 일했다. 정부가 정식 택시 면허를 취득하지 않고도 3개월은 택시를 몰 수 있는 임시 면허를 발급 제도를 운영한 덕분이다. 그러다 “많은 승객을 모시고 다니는 게 더 좋겠다 싶어서 버스 운전으로 넘어왔다”고 말했다.


보기 드문 ‘20대 기사’ 어씨는 마을버스 운전 1년 경력을 채우고 나면 시내버스로 옮겨갈 계획이다. 그는 “대표님도 내가 시내버스로 넘어갈 예정인 걸 잘 알고 있으시다”면서 “오히려 나한테 ‘여기서 사고만 치지 말고 (시내버스로) 가’라고 말씀하시더라. 마을버스 관계자라면 ‘젊은 사람들은 시내버스로 가기 위해서 마을버스를 거쳐 간다’는 사실을 다 아는 것”이라고 말했다.

안효정 기자

어창열 금양운수 마을버스 기사가 지난 4월 말 서울 중구 만리재로 한 버스정류장에서 헤럴드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어창열 금양운수 마을버스 기사가 지난 4월 말 서울 중구 만리재로 한 버스정류장에서 헤럴드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