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민수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가운데)이 20일 서울 남대문로 한은 기자실에서 가계신용 통계 설명회를 열고 있다. 한은 제공 |
올해 1분기 말 주택담보대출 증가 영향으로 가계 빚이 1930조원에 육박하면서 역대 최고치를 새로 썼다. 다만 신용대출이 줄면서 가계 빚 증가 폭은 다소 줄었다. 한국은행은 2분기 토지거래허가제 등의 영향으로 가계 빚이 일시적으로 확대되지만 하반기엔 대출 규제 등의 효과로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이 20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를 보면, 1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28조7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2조8000억원 증가했다.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후 가장 큰 수치다. 가계신용은 일반가계가 은행·보험사 등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사용액(판매신용)을 더한 금액으로 ‘포괄적 가계부채’를 뜻한다.
가계신용은 2023년 2~4분기 계속 늘다가 지난해 1분기 3조1000억원 줄었다. 하지만 이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 올해 1분기까지 4개 분기 연속으로 늘었다.
다만 1분기 가계신용 증가 폭(+2조8000억원)은 전 분기(+11조6000억원)보다 크게 줄었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을 제외한 가계대출(1810조3000억원)은 4조7000억원 증가해 전 분기(+9조1000억원)에 비해 증가 폭이 절반가량 축소됐다.
가계대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1133조5000억원)은 3개월 사이 9조7000억원 늘었다. 다만 연말·연초 주택거래가 둔화되면서 증가 폭은 전분기(+11조7000억원)보다 축소됐다. 이에 반해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의 경우 4조9000억원 줄어 2021년 4분기 이후 계속 감소세다. 연초 받은 상여금으로 신용대출을 갚은 게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1분기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118조5000억원)은 신용카드 이용규모 축소 등으로 1조9000억원 줄었다. 통상 1분기 판매신용은 연말 소비로 카드사용액이 증가하는 4분기 통계 기저효과로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2∼3월 늘어난 주택거래가 1∼3개월 시차를 두고 주택담보대출에 반영되는 만큼 5~6월 주택담보대출이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면서도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재지정 이후 주택거래가 줄고 7월 3단계 대출 규제 시행으로 하반기 들어 주택담보대출이 안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baldkim@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 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