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속에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가 주목받고 있다. 하이브리드처럼 내연차와 전기차 사이 징검다리에 해당하지만, 엔진을 주행이 아닌 충전을 위한 발전기 역할을 주로 한다는 데 차이가 있다. 이 때문에 충전 걱정없이 장거리 운행이 가능하다. 중국과 북미에서 인기가 높아지면서, 완성차 업체들도 EREV 차량 출시 경쟁에 나섰다.
EREV는 간단히 표현하면 ‘소형 엔진 발전기를 단 전기차’다. 전기차처럼 모터로 달리지만, 배터리가 부족하면 소형 엔진이 발전기 역할을 해 배터리를 충전해 주행한다. 하이브리드차는 주행 시 엔진과 배터리를 오가며 바퀴를 굴린다면, EREV는 주행 시 엔진의 개입이 극히 제한적이거나 아예 없다. 김덕진 한국자동차연구원 하이브리드연구부문 부문장은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사이를 연결할 기술을 꼽는다면 좀 더 하이브리드에 가까운 쪽이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전기차에 가까운 쪽이 EREV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확장형 전기차 EREV 주목
![]() |
폭스바겐이 중국 시장을 겨냥해 공개한 EREV 차량 ID.ERA 콘셉트카. [EPA=연합뉴스] |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속에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가 주목받고 있다. 하이브리드처럼 내연차와 전기차 사이 징검다리에 해당하지만, 엔진을 주행이 아닌 충전을 위한 발전기 역할을 주로 한다는 데 차이가 있다. 이 때문에 충전 걱정없이 장거리 운행이 가능하다. 중국과 북미에서 인기가 높아지면서, 완성차 업체들도 EREV 차량 출시 경쟁에 나섰다.
EREV는 간단히 표현하면 ‘소형 엔진 발전기를 단 전기차’다. 전기차처럼 모터로 달리지만, 배터리가 부족하면 소형 엔진이 발전기 역할을 해 배터리를 충전해 주행한다. 하이브리드차는 주행 시 엔진과 배터리를 오가며 바퀴를 굴린다면, EREV는 주행 시 엔진의 개입이 극히 제한적이거나 아예 없다. 김덕진 한국자동차연구원 하이브리드연구부문 부문장은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사이를 연결할 기술을 꼽는다면 좀 더 하이브리드에 가까운 쪽이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전기차에 가까운 쪽이 EREV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달 초까지 열린 ‘상하이모터쇼’는 향상된 EREV 기술을 가늠해볼 수 있는 자리였다. 폭스바겐은 모터쇼에서 중국을 겨냥한 EREV 차량 ID.ERA(에라) 콘셉트카를 공개했다. 상하이자동차(SAIC)와 협력해 만드는 대형 SUV인데, 폭스바겐 최초의 EREV 모델이다. 배터리 모드로 300㎞를 달릴 수 있고, 엔진이 주행 중 배터리를 충전해 700㎞ 이상 추가 주행거리를 제공한다.
EREV 기술 개발에 가장 적극적인 건 중국 자동차 회사들이다. 중국의 리오토는 EREV를 전문적으로 생산한다. 2019년 첫차인 리오토 원을 시작으로 리오토 L9까지 다양한 크기의 EREV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선보였다. 이 회사는 지난해 49만3000대의 고급 SUV를 판매했다. 지난달 열린 서울모빌리티쇼에는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의 고급 브랜드 ‘양왕’의 프리미엄 SUV U8이 전시됐는데, 이 차도 EREV 차량이었다.
로이터가 중국승용차연합회(CPCA) 자료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서 순수 전기차보다 EREV 차량 판매 성장세가 더 빨랐다. 순수 전기차 판매량(630만대)은 전년 대비 23% 증가했지만, EREV 판매량(120만대)은 79% 늘었다.
중국과 북미에서의 인기를 등에 업고, 유럽 등 다른 시장으로의 확장 가능성도 있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고, 배출가스 규제가 강한 유럽에서 순수 전기차보다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조현구 코트라 프랑크푸르트 무역관은 지난달 발간한 보고서에서 “유럽 국가들은 2035년까지 내연기관 차량 판매 금지를 추진 중인데, EREV는 순수 내연기관으로 분류되지 않을 수 있어 규제를 우회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현대차그룹도 지난해 EREV 시장 진출을 공식화했다. 내년 말부터는 중국과 북미에서 EREV 차량 양산을 시작해 2027년부터 본격적으로 판매할 계획이다. 북미 시장에서는 현대와 제네시스의 중형 SUV 차종을 투입해 연간 8만 대 이상을 판매 목표로 세웠다. 싼타페나 제네시스 GV70이 EREV로 출시될 수 있다. 중국에서는 준중형 EREV를 출시해 연간 3만대 이상 판매할 계획이다.
이수정 기자 lee.sujeong1@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