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연합뉴스TV 언론사 이미지

라이칭더 총통 취임 1년…대만 정치 분열·안보 불확실성 심화

연합뉴스TV 배삼진
원문보기

라이칭더 총통 취임 1년…대만 정치 분열·안보 불확실성 심화

속보
이란 "휴전합의 아직…이스라엘이 공격 멈추면 대응 안 해"
[앵커]

라이칭더 대만 총통이 내일(20일) 취임 1주년을 맞습니다.

중국과의 양안관계가 더 불안해지는 상황에서 대만 내 정치 분열과 트럼트 행정부가 몰고 온 대외 불확실성까지 커지면서 라이 총통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베이징에서 배삼진 특파원입니다.

[기자]

지난달 대만 타이베이 총통부 앞에는 라이칭더 총통의 국정운영을 문제 삼으며 1만명이 모였습니다.


여소야대 정국 속에서 야당은 이른바 총통 견제법과 정부 예산안 삭감 등에 나서며 정부·여당과 충돌했는데, 탄핵까지 추진중입니다.

<주리룬 / 국민당 주석> "어떻게 미국을 우선시할 수 있죠. 이건 전형적인 대만 배신행위입니다. 정말로 물러나야 합니다."

최근 총통 지지율은 48%로 1년 새 5%p 하락했고, 집권 만족도는 처음으로 만족보다 불만족이 더 많아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라이 총통은 대중 강경 노선을 통해 대중적 지지기반 확보에 더 공을 들이는 모양새입니다.

중국에 협조하는 정부와 군부 내 간첩 세력 척결이라는 강경책까지 꺼내 들었습니다.

<라이칭더 / 대만 총통 (지난 3월)> "우리의 민주주의적 의지와 국가안보를 강화하고, 진정한 자유민주주의와 생활방식을 수호하기 위해 적절한 예방조치를 취해야 할 때입니다."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대외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은 대만 독립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문구를 삭제하는 등 전략적 모호성으로 회귀 중으로, 대만과 중국을 상대로 거래에 나설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이 군사적 압박에 나서는 것은 물론 저항이 무의미하다는 이른바 운명론을 심기에 나서면서 라이 총통이 고려할 요소는 많아지고 있습니다.

<첸빈화 / 중국 대만사무판공실 대변인> "중국 본토는 대만 해협의 안정을 유지하고 양안 관계를 촉진하며 중국 통일의 대업을 추진할 충분한 능력이 있습니다"

<배삼진 특파원> "외교적 고립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국제 연대와 군사적 억지력을 강화해야 하는 과제까지 떠안으면서 라이 총통의 복잡한 줄타기는 한동안 계속될 수도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

[영상편집 김 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삼진(baesj@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