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연합뉴스TV 언론사 이미지

북한, 남북대화 상징 '통일각' 현판 '판문관'으로 변경

연합뉴스TV 최지원
원문보기

북한, 남북대화 상징 '통일각' 현판 '판문관'으로 변경

속보
특검, 김건희 '집사' 지인 참손푸드 대표 22일 소환
[앵커]

남북이 공존하는 공동경비구역 JSA에는 남북 간 교류가 이뤄지는 장소들이 여러개 있습니다.

그 중 북측 지역에 있는 상징적 건물 '통일각'의 이름이 '판문관'으로 바뀐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북한이 2년 전 '적대적 두 국가' 선언 이후 통일 지우기 행보에 지속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최지원 기자입니다.

[기자]


1985년 지어진 이후 수차례 남북대화가 이뤄졌던 통일각.

공동경비구역 북측 지역 내 남북 회담장으로 선택받으며 남북대화의 상징적 장소로 자리매김했습니다.

2018년엔 문재인 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정상회담이 비밀리에 열렸고, 북미 간 첫 정상회담을 위한 실무진 회의도 6차례나 진행됐습니다.


그 이후 남북 대화가 한동한 중단된 상황에서 북한이 지난해 이 통일각의 현판 이름을 '판문관'으로 바꿔 단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구병삼/통일부 대변인> "판문점 북측 지역에 있던 통일각이 그 현판을 작년 1월에 현판을 철거하고 작년 8월에 '판문관'으로 현판을 새로 설치한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아버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직접 지은 이름을 버리고 '통일과 민족' 색채가 없는 새 이름을 단 겁니다.


북한의 이러한 행보는 김 위원장의 '적대적 두국가' 선언 이후 본격화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 "북남관계는 더 이상 동족 관계, 동질관계가 아닌 적대적인 두 국가관계, 전쟁 중에 있는 두 교전국 관계로 완전히 고착되었습니다."

통일각의 현판을 뗀 지난해 1월엔 조국통일 3대헌장 기념탑도 철거하는 등 북한 내 통일의 상징들을 지웠습니다.

이번 통일각 개명 역시 남한과 대립각을 세우려는 북한의 '통일 지우기' 일환으로 통일부는 보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최지원입니다.

[영상취재 김동화]

[영상편집 윤현정]

[그래픽 김형서]

[뉴스리뷰]

#북한 #통일각 #남북대화 #공동경비구역 #JSA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지원(jiwone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