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대선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에 제동을 걸기 위해 ‘전략적 투표’를 했다는 김지수씨(26)는 6·3 대선에서는 여성인권 정책을 실현할 의지가 있는 후보에게 ‘소신 투표’할 생각이다. 12·3 불법계엄 후 광장에서 분출된 요구는 ‘모두가 안전하고 평등한 사회’로 뻗어나갔지만 정작 대선 국면에서는 이런 목소리가 외면당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이 깔렸다.
김씨는 지난 15일과 18일 두 차례에 걸쳐 기자와 인터뷰하며 “여성들은 무력해지는 것을 경계하고 목소리를 계속 낼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난해 12월7일 탄핵 촉구 집회에 참석했을 당시 “(발언 중) ‘일상의 안전’이 눈에 띄었고, 비동의강간죄, 차별금지법 등 제도에 관한 요구도 많았다”고 말했다. 광장 역시 안전하기만 한 공간은 아니었다. 인권 보장을 촉구하는 여성과 성소수자 등의 발언에 야유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시민들은 ‘혐오·차별을 하지 말자’는 원칙을 공유했다.
![]() |
김지수씨가 15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주변을 둘러보고 있다. 김씨는 “빈곤해서 죽고, 거절해서 죽고, 폭력 피해로 스스로 죽은 여성들에 대한 뉴스가 끊이지 않는다”며 “이는 생존의 문제”라고 말했다. 서성일 선임기자 |
김씨는 지난 15일과 18일 두 차례에 걸쳐 기자와 인터뷰하며 “여성들은 무력해지는 것을 경계하고 목소리를 계속 낼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난해 12월7일 탄핵 촉구 집회에 참석했을 당시 “(발언 중) ‘일상의 안전’이 눈에 띄었고, 비동의강간죄, 차별금지법 등 제도에 관한 요구도 많았다”고 말했다. 광장 역시 안전하기만 한 공간은 아니었다. 인권 보장을 촉구하는 여성과 성소수자 등의 발언에 야유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시민들은 ‘혐오·차별을 하지 말자’는 원칙을 공유했다.
정치권에도 이런 자정작용을 기대할 수 있을까. 김씨는 여성문제를 가시화하며 현실을 반영한 공약을 펼친 것은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가 유일하다고 봤다. 권 후보는 여성가족부의 부총리급 성평등부 격상 및 강화,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 비동의강간죄 및 ‘낙태죄’ 대체 입법 추진, 성평등 개헌 등을 공약했다. 김씨는 “권 후보가 스스로 ‘페미니스트 대통령’이라고 말하는 것 자체가 위안이 됐다”고 말했다.
지난 대선에서 ‘여성 안심 대통령’을 자처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여성 공약은 후퇴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김씨는 “지난 대선 공약이었던 성·재생산 건강권 보장, 성주류화 추진체계 강화 등이 사라졌고, 여성들이 요구해온 비동의강간죄 도입, 안전한 임신중지를 위한 추가 입법, 여가부 기능 강화 등은 담기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씨는 이 후보가 “‘여성’ 대신 ‘청년들’ ‘모든 국민’이라 뭉뚱그려 표현하고 있다”며 “연령·성별 등에 따라 처한 상황이 다른 만큼, 여성의 삶 전반을 페미니즘 시각으로 바라보고 정책을 내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오른쪽부터)가 지난 18일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으로 서울 상암동 SBS 프리즘센터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1차 후보자 토론회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
김씨는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의 ‘여성희망복무제를 통한 양성평등 군 복무 시스템 도입’ 공약을 두고는 “남성 군인에 의한 여성 군인 성폭력이 지속해 발생하는데, 성차별적이고 위계적인 조직문화 개선에 대한 내용은 없다”고 말했다. 김 후보가 ‘임신부터 육아까지 지원 확대’를 여성공약으로 제시한 데 대해선 “가족 정책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여성가족부 폐지’를 꺼내든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에 대해선 “여성혐오 세력의 지지를 얻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여가부가 매년 측정해 발표하는 국가성평등지수가 올해 사상 처음으로 하락했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발표하는 유리천장지수에서 한국은 올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29개국 중 28위를 차지했다. 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는 2023년 기준 OCED 회원국 가운데 꼴찌다.
김씨는 “여성 공약을 말하면 남성 유권자의 심기를 거스를 것이라는 소극적 판단은 여성 문제를 여성의 것으로만 바라보고, 남성 유권자를 반지성인으로 여기는 잘못된 태도”라며 “‘사회적 합의’만 반복하기보다는 국민을 설득하는 대통령이 필요하다. 지금이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적기”라고 말했다.
박하얀 기자 white@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 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