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헤럴드경제 언론사 이미지

“곽종근, 계엄 해제 후 머리 싸매고 좌절”…지시에 전화로 복창했다 [세상&]

헤럴드경제 박지영
원문보기

“곽종근, 계엄 해제 후 머리 싸매고 좌절”…지시에 전화로 복창했다 [세상&]

속보
"尹, 경호법상 직권남용 혐의도…비화폰 삭제 지시 관련"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옆자리
수차례 ‘상부’ 독촉 전화 받으며 진땀
“문 부수고 들어가겠습니다” 복창한 뒤 명령 하달
윤석열 전 대통령이 19일 서울 서초구 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사건 4차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

윤석열 전 대통령이 19일 서울 서초구 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사건 4차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박지영 기자]12·3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이 상부로부터 전화를 받은 뒤 복명·복창하며 국회의원 표결 방해를 지시했다는 법정 증언이 나왔다.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25부(부장 지귀연)는 19일 오전 10시 15분부터 윤 전 대통령 내란 우두머리 형사재판 4차 공판기일을 진행 중이다. 이날 공판에서는 지난 기일에 이어 박정환 육군 특수전사령부 참모장(준장)의 증인신문이 진행되고 있다.

박 준장은 12·3 비상계엄 당시 합참 전투통제실에서 곽 전 사령관이 비화폰 등을 통해 수차례 통화하는 정황을 목격한 인물이다. 곽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 선포 전인 12월 3일 9시 42분경 합참 전투통제실로 이동했다. 박 준장은 10시 27분경 전투통제실에 들어가 곽 전 사령관의 오른편에 앉았다.

박 준장은 곽 전 사령관이 국회 현장에 투입된 707특임단과 1공수여단에 직접적으로 국회 의결 방해를 지시했다고 증언했다. 박 준장은 “곽 전 사령관이 ‘(특전사가 국회에 도착한 뒤) 유리창을 깨라, 문을 부수고라도 들어가라, 표결을 못하게 의원을 끌어내라’고 지시했다”고 증언했다. 박 준장은 곽 전 사령이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직접적으로 지시했다”며 “충격적인 지시라 (제) 오른 편의 정보처장, 작전처장과 눈을 마주쳤고 모두 당황한 표정이었다”고 상세하게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지휘가 상부의 지시에 따른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 박 준장은 “곽 전 사령관이 ‘응대’하는 말투로 전화를 받고 나서 현장 지휘관에게 지시했다”며 “(상부의 지시를) 복창하면서 ‘문을 부수고서라도 들어가겠다’고 말한게 기억난다”고 했다.

검찰이 “‘네, 알겠습니다. 문을 부수고서라도 들어가겠다’고 복창했느냐”고 묻자 “그렇다”고 대답했다. 또 상부로부터 받은 지시가 명확하게 ‘국회의원’을 끌어내는 지시였던 것으로 보인다는 정황도 증언했다. 박 준장은 “(끌어내라는 대상이) 누구인지 반문했던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했다. 곽 전 사령관은 통화를 한 직후 김현태 전 707 특임단장과 이상현 제1공수특수여단장에게 명령을 하달했다고 한다. 박 준장은 다만 당시에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전화로 추측했다고 진술했다.


박 준장은 “계엄 해제 표결 전까지 전화가 많이 왔다. (곽 전 사령관이) 매우 조급해하고 압박을 많이 받고 있다고 느꼈다”며 “(계엄 해제 의결 후) 곽 전 사령관이 두 손으로 머리를 감싸 쥐고 책상 위에 웅크렸다. 좌절하는 모습 같았다”고 상황을 묘사했다.

박 준장은 곽 전 사령과과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통화하며 말을 맞춘 정황도 증언했다. 검찰 조사 결과 곽 전 사령관은 지난해 12월 4일 새벽 5시 35분께 여 전 사령관과 비화폰으로 통화했다. 박 준장은 “곽 전 사령관이 ‘예. 방첩사령관’이라고 하면서 전화를 받았다. 통화 내용을 직접 듣지는 못했지만 ‘방송 보고 알았다’, ‘부관이 내일 지우는데’라고 말했다”며 두 사람이 비상계엄 선포를 사전에 알지 못했다고 말을 맞췄다는 취지로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