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 "과거 사례 보면 북 기만·과장하는 경우 많아"
북 부품·재료 확보 문제로 전력화 지연 가능성 제기
러시아 기술 이전 여부엔 "연관 있다고 보고 있어"
북 부품·재료 확보 문제로 전력화 지연 가능성 제기
러시아 기술 이전 여부엔 "연관 있다고 보고 있어"
![]() |
[서울=뉴시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5일 제1공군사단 관하 비행연대를 방문해 공군 반항공(방공)전투 및 공습 훈련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TV가 17일 보도했다. 중앙TV가 공개한 사진을 보면 미그(MiG)-29와 수호이(Su)-25 등 북한 공군의 최신 자산이 이날 훈련에 동원됐다. (사진=조선중앙TV 캡처) 2025.05.1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
[서울=뉴시스] 옥승욱 기자 = 북한이 지난 17일 신형 공대공미사일 실사격 모습을 처음 공개한 것과 관련해 우리 군은 북한이 이를 전력화 하는데 상당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했다.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19일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한미 정보당국은 지난 목요일 17시경 서해상에서 있었던 북한의 훈련을 예의주시하고 있었다"며 "무기 개발 동향에 대해서도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이 지난주 공개한 미사일과 유도폭탄 등에 대해서는 분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 대외매체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지난 15일 제1공군사단 관하 비행연대를 방문해 공군 비행대들의 반항공(방공)전투 및 공습훈련을 지도했다고 17일 보도했다.
통신은 이날 훈련에 대해 "적의 순항미사일들과 자폭무인공격기들을 탐색, 추적, 소멸하기 위한 반항공 방어 임무와 각이한 전자 수단들로 적의 무인공격기들을 맹목시키고 소멸하는 전투임무에 비행대들과 반항공미사일구분대들, 전파탐지기구분대들과 전자전구분대들을 숙련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됐다"고 전했다.
북한은 이날 미그-29 전투기에서 신형 중거리 공대공미사일로 추정되는 미사일을 실사격하는 모습도 공개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2021년 국방발전전람회 '자위-2021'에서 이 미사일을 처음 공개한 바 있는데, 실사격 장면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와 관련, 이성준 공보실장은 "과거 사례를 보면 북한은 기만이나 과장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부품이나 재료 확보 등의 문제로 전력화에 상당 부분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번에 그러한 무기체계들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러시아 파병의 대가로 첨단기술을 이전받았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연관이 있다고 보고 있다"면서도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까지인지, 어느 부분에 그러한 도움을 받았는지는 분석이 더 필요하다"고 답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okdol99@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