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슨 점수 9점…"뼈까지 전이, 공격적 형태"
"암, 호르몬에 민감 반응…효과적 관리 가능"
“클루니 못 알아봐”…일찌감치 건강 관심 집중
"암, 호르몬에 민감 반응…효과적 관리 가능"
“클루니 못 알아봐”…일찌감치 건강 관심 집중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조 바이든(82) 전 미국 대통령이 퇴임 4개월 만에 전립선암 진단을 받았다.
1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바이든 전 대통령 개인 사무실 측은 이날 성명을 통해 배뇨 증상이 악화된 후 전립선 결절이 새로 발견돼 진료를 받으면서 지난 16일 이같은 진단을 받았다고 밝혔다. 사무실 측은 “이는 공격적인 형태로 뼈까지 전이됐으나 암이 호르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보여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면서 “바이든 전 대통령과 그의 가족들은 의료진과 함께 치료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립선암의 악성도는 통상 글리슨 점수로 알 수 있는데, 바이든 전 대통령의 경우 10점 만점에 9점(등급 그룹 5)으로 특정됐다고 사무실 측은 전했다. 대부분 전립선암은 초기에 발견되나 바이든 전 대통령은 4기에 해당한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진단된 23만6659건의 전립선암 사례 중 70%는 암이 퍼지기 전에 진단을 받았다.
![]() |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사진=AFP) |
1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바이든 전 대통령 개인 사무실 측은 이날 성명을 통해 배뇨 증상이 악화된 후 전립선 결절이 새로 발견돼 진료를 받으면서 지난 16일 이같은 진단을 받았다고 밝혔다. 사무실 측은 “이는 공격적인 형태로 뼈까지 전이됐으나 암이 호르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보여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면서 “바이든 전 대통령과 그의 가족들은 의료진과 함께 치료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립선암의 악성도는 통상 글리슨 점수로 알 수 있는데, 바이든 전 대통령의 경우 10점 만점에 9점(등급 그룹 5)으로 특정됐다고 사무실 측은 전했다. 대부분 전립선암은 초기에 발견되나 바이든 전 대통령은 4기에 해당한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진단된 23만6659건의 전립선암 사례 중 70%는 암이 퍼지기 전에 진단을 받았다.
뉴욕대 랑곤 메디컬센터의 비뇨기과 전문의 허버트 레포 박사는 “글리슨 점수 9점은 고위험에 해당하지만 전이성 전립선암 환자라도 5~10년, 그 이상도 생존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면서 “지난 10년간 진행성 전립선암 치료에 있어 많은 발전이 있었다”고 말했다.
노스웨스턴대 의학재단의 크리스 조지 박사는 전립선암이 뼈로 전이되면 더 이상 완치가 불가능하지만,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치료법들이 있다고 말했다.
지난 1월 취임 이후 줄곧 바이든 전 대통령을 비난해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SNS)에 “(나의 아내인)멜라니아와 나는 바이든의 최근 의료 진단 소식을 듣고 슬퍼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질(바이든의 아내)과 가족에 우리의 가장 따뜻하고 정성 어린 안부를 전하며 조가 빨리 성공적으로 회복하기를 기원한다”며 쾌유를 빌었다.
카말라 해리스 전 부통령 또한 “더그(해리스의 남편)와 나는 바이든의 진단 소식에 슬픔을 표한다”면서 “조는 투사이며, 그의 삶과 리더십을 정의하는 힘, 회복력, 낙관주의로 이 도전에 맞설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며 회복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의 신체적 건강과 인지 능력은 지난해 대선 선거운동 전부터 집중적인 관심을 받았다. 재임 당시에도 특검 보고서로 인해 그에겐 “기억력이 나쁜 노인”이란 꼬리표가 따라 붙었다. 결국 그는 지난해 6월 당시 공화당 대선 후보였던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선 토론에서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준 이후 몇 주 만에 재선 도전을 돌연 중단했다.
다음주 출판되는 제이크 태퍼 CNN 기자·알렉스 톰슨 악시오스 기자가 바이든 정부 관계자 200명 이상을 인터뷰해 집필한 책 ‘원죄: 조 바이든의 쇠퇴와 은폐, 그리고 재선 출마라는 재앙적 선택’에 따르면 지난해 6월 선거자금 모금 행사에서 바이든 전 대통령이 오랜 친구인 배우 조지 클루니를 알아보지 못해 클루니가 충격을 받기도 했다. 당시 참모들은 바이든 전 대통령의 휠체어 사용을 논의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퇴임 이후 상대적으로 조용히 지내던 바이든 전 대통령은 지난 4월 시카고에서 열린 장애인 단체 행사에서 사회보장제도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 “100일도 채 안되는 기간 동안 현 행정부가 너무나 많은 피해와 파괴를 가져왔다”고 일침했다. 그의 연설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거론되진 않았으나 사실상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비판으로 해석됐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지난 2020년 제46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되던 당시 77세로 미 역사상 최고령 대통령이 됐다. 지난해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면서 이 기록을 깼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