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뉴시스 언론사 이미지

[르포]베트남 바다에 '풍력 발전 숲' 만든 SK…"재생에너지 2배로"

뉴시스 류인선
원문보기

[르포]베트남 바다에 '풍력 발전 숲' 만든 SK…"재생에너지 2배로"

속보
트럼프, 이란 핵프로그램 재건시 추가 타격 질문에 "물론"
탄푸동 해상풍력 발전 단지 현장 방문
500m 간격 36기…"연 500억원씩 수익"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2배 이상 확대"
[티엔장=뉴시스] SK이노베이션 E&S가 운영 중인 베트남 TPD 해상풍력단지 전경. (사진=SK이노베이션 E&S) 2025.5.19. photo@newsis.com

[티엔장=뉴시스] SK이노베이션 E&S가 운영 중인 베트남 TPD 해상풍력단지 전경. (사진=SK이노베이션 E&S) 2025.5.19. photo@newsis.com



[티엔장=뉴시스] 류인선 기자 = 지난 13일 오후, 베트남 남부 최대도시인 호찌민시에서 남쪽으로 130km 거리인 티엔장성 벤짜우 선착장. 메콩강과 남중국해가 만나는 베트남 최남단 지역의 이 선착장에서 배를 타고 바다로 30분을 나아갔다.

그곳에는 거대한 풍력 터빈 36기가 거센 바람을 그대로 맞으며 솟아 있었다. 축구장 25개를 합친 25만㎡ 규모의 탄푸동(TPD) 해상풍력 발전 단지다.

이곳 풍력 터빈은 높이만 105m로 4.2메가와트(㎿)급 터빈이 500m 간격으로 줄지어 있다. 터빈과 날개가 모두 흰색이어서 마치 바다 위에 초대형 자작나무 숲을 조성한 것 같은 느낌이다.

배가 터빈에 접근하자 모노파일에 설치된 베트남 국기가 강하게 펄럭이며, 이곳 바람이 어느 정도 세찬지 짐작케 했다.

베트남 앞 바다의 연 평균 풍속은 6~8m/s. 워낙 바람이 많이 불어 먼 바다에 나가지 않고 육지에서 5km 남짓 떨어진 이곳 풍력 단지에서도 발전에 필요한 풍력을 얼마든지 얻을 수 있다. 이날도 육지는 날씨가 맑았지만 이곳 발전 단지에는 7m/s 안팎의 거센 바람이 불었다.

모노파일에 설치된 사다리에 오르자 건물 35층 높이의 기둥과 지름 150m에 달하는 날개가 위용을 드러냈다. 이 날개는 기자의 머리 위를 돌 때마다 바람을 가르며 '후훅'하는 엄청난 풍절음을 만들어냈다.


SK, 지분 45% 보유한 파트너…연매출 500억원

이 탄푸동 해상 풍력 발전 단지는 한국의 SK이노베이션 E&S가 베트남에서 운영하는 글로벌 재생에너지의 핵심 기지다.

총 150메가와트(㎿) 규모로, 티엔장 일대에서 최대이자, 최초로 상업 가동에 들어갔다.

지난해 연간 발전량은 총 443기가와트시(GWh)로 베트남 현지 기준 20만 가구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베트남 기업인 TTC의 자회사 GEC가 개발에 나섰고, SK이노베이션 E&S는 2022년 파트너사로 참여해 지분 45%를 확보했다.

[티엔장=뉴시스] SK이노베이션 E&S가 운영 중인 베트남 TPD 해상풍력단지의 터빈. (사진=SK이노베이션 E&S 제공) 2025.5.19. photo@newsis.com

[티엔장=뉴시스] SK이노베이션 E&S가 운영 중인 베트남 TPD 해상풍력단지의 터빈. (사진=SK이노베이션 E&S 제공) 2025.5.19. photo@newsis.com


이곳에서 만든 전력은 베트남 국영전력회사(EVN)가 장기 고정가격으로 매입한다. 이를 통해 연간 500억원 규모의 안정적인 수익이 발생하는 알짜 사업이 가능하다.

SK이노베이션 E&S가 글로벌 재생에너지 사업의 전초기지로 베트남 남부를 택한 이유는 자연환경과 우호적인 정책으로 이 지역 풍력 발전 사업이 급격히 성장할 수 있어서다.


베트남은 일조량이 많은 데다 남북으로 긴 해안에서 연평균 고른 바람이 불어 태양광 및 풍력발전에 최적의 입지로 꼽힌다. SK이노베이션 E&S도 2020년 베트남 남부 닌 투언 지역에 131㎿ 태양광 설비를 시작으로 지속적인 사업 확장을 노리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지난해 7월 처음으로 재생에너지 직접 전력거래계약(PPA) 제도를 도입했으며, SK이노베이션 E&S도 베트남에 진출한 글로벌 제조 업체들을 상대로 재생에너지 공급을 위한 PPA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 겨냥…"전 세계로 무대 넓힌다"

앞으로 글로벌 탄소시장이 열리면 탄소배출권도 직접적인 수익 창출 수단이 될 수 있다. TPD 해상풍력 프로젝트로 SK이노베이션 E&S가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인정받으면 탄소배출권을 연간 26만톤씩 15년 동안 확보할 수 있다.

SK이노베이션 E&S는 베트남에서 쌓은 경험을 토대로 동남아와 동유럽, 북미 등으로 사업 무대를 넓힐 태세다. 전 세계를 무대로 재생에너지 사업 확장에 나서는 것이다.

SK이노베이션 E&S는 현재 보유한 1GW 규모의 글로벌 파이프라인을 2030년까지 2배 이상으로 키워 재생에너지 사업을 에너지 포트폴리오의 핵심축으로 키운다는 목표다.

SK이노베이션 E&S 관계자는 "국내 민간 1위 재생에너지 사업자로 지금까지 축적한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 적극 진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SK이노베이션의 재생에너지 글로벌 파이프라인 사업 계획. 2025.5.19.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SK이노베이션의 재생에너지 글로벌 파이프라인 사업 계획. 2025.5.19. photo@newsis.com



☞공감언론 뉴시스 ryu@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