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만에 친환경 정책 폐기 총력전
![]() |
2022년 1월 메리 바라 GM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미시간주 랜싱에서 기자 회견에 나서고 있다. 당시 GM은 회사 역사상 최대 규모의 투자를 단행, 전기 픽업트럭 생산을 위한 공장 전환과 새로운 배터리 셀 공장 건설을 공언했다. 당시 발표된 투자 규모만 70억 달러(약 9조8000억 원)에 달했다. 랜싱(미국)/AP뉴시스 |
미국 GM이 캘리포니아의 친환경차 의무화 정책을 정면으로 반박하며 정책 폐기를 위한 정치권 로비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18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배런스ㆍ마켓워치 등의 보도에 따르면 제조사인 제너럴모터스(GM)가 연방의회가 추진 중인 ‘캘리포니아 친환경차 의무화 정책 폐기’에 동조하며 이에 대한 정치권 로비를 진행 중이다. 한때 전기차(EV) 시대 전환을 공언했던 GM이 이제 전기차 지원책 폐기를 물밑에서 추진 중인 셈이다.
WSJ에 따르면 GM은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연방 상원의원들을 대상으로 캘리포니아주의 친환경 자동차 정책 폐기가 필요하다는 점을 설득해 달라”며 “시장 현실과 맞지 않는 배출가스 기준은 소비자 선택권과 신차 구매력을 약화해 우리 사업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고 강조했다.
캘리포니아주는 미국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친환경차 도입을 추진해 왔다. 2022년에는 전체 신차 가운데 친환경차 비율을 2026년 35%→2030년 68%로 늘리고 나서 2035년에는 이 비율을 100%로 하는 규제를 법으로 정했다. 이후 미국 내 11개 주가 캘리포니아주의 정책을 뒤따라 2035년까지 내연기관 승용차 판매를 금지하기로 했다.
그러나 미 연방 하원은 이달 초 캘리포니아가 자체적으로 더 엄격한 배출가스 기준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예외 인정 지위를 취소하는 법안을 가결했다. 해당 법안은 공화당 외에 민주당 소속 의원 35명이 찬성할 정도로 초당적인 지지를 얻었다. 연방 상원도 이르면 이번 주 중 공화당 주도로 같은 내용의 법안을 표결할 예정이다.
WSJ는 GM의 캘리포니아주 규제 폐지 로비에 대해 “전기차에 집중했던 GM이 이제는 미국 내에서 가장 급진적인 전기차 의무화 정책을 뒤집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꼬집었다.
GM도 2022년 전기차에 약 70억 달러(약 9조8000억 원)를 투자한다고 발표하는 등 캘리포니아 정책에 적극적으로 호응했다. 그러나 전기차 판매가 주춤하고 정치권이 보조금 혜택 축소를 검토하는 등 시장 환경이 급변하자 GM도 태도를 바꾼 것으로 보인다.
[이투데이/김준형 기자 (junior@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