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상철 중국연구소장·차이나랩 대표 |
그는 중국이 남중국해에 그은 구단선으로 아세안 국가들을 위협하더니 인제 와서 함께 힘을 모아 (미국에) 대항하자는 게 말이 되냐고 꼬집었다. 시 주석을 영화 대부(代父)에 나오는 마피아 두목 돈 콜레오네에 비유하기도 했다. 그가 폴란드 국적임을 고려하면 한 서방 논객의 시각이려니 했을 법하다. 한데 사흘 뒤 싱가포르의 저명인사 호칭(何晶)이 이 글을 페이스북에 공유하며 문제가 커졌다.
![]() |
시진핑 비판 칼럼을 공유해 화제가 된 리셴룽 전 싱가포르 총리 부인 호칭. [사진 바이두 캡처] |
호칭이 누구인가. 오늘의 싱가포르를 일군 리콴유의 맏며느리다. 리셴룽 전 총리의 부인으로 2007년에는 포브스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세 번째 여성에 선정되기도 했다. 1953년생으로 미 스탠퍼드대학 석사 출신인 호칭은 2004년부터 17년 넘게 싱가포르의 국부펀드 테마섹의 최고 경영자로 근무했으며 현재는 테마섹 트러스트의 주석으로 있다. 아직도 싱가포르의 실력자라는 이야기다.
호칭은 또 중국 칭화대학 경제관리학원 고문위원회 4명의 명예위원 중 한 명이다. 칭화대 경제관리학원은 주룽지 전 중국 총리가 만들어 초대 원장을 지냈으며 현재는 한때 시진핑의 오른팔이었던 왕치산 전 국가부주석이 명예주석을 맡은 곳이다. 이는 호칭이 주룽지나 왕치산 등 중국 거물 정치인과의 관계가 간단치 않음을 시사한다. 즉 중국 정가 소식에도 밝을 것이라는 이야기다.
그런 호칭이 시진핑을 비판하는 칼럼을 페이스북에 공유했다는 게 무얼 뜻하느냐가 중화권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이다. 호칭은 소셜미디어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것으로 유명하긴 하다. 하루에 200개 이상의 게시물을 올린 적도 있지만 이번처럼 시진핑 비판 칼럼을 공유하는 건 매우 신중을 요하는 일이다. 한데 문제의 칼럼을 바로 내리지 않고 며칠씩이나 뒀다는 게 온갖 추측을 낳고 있다.
중화권에서는 시진핑 주석의 힘이 예전만 못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하냐는 거다. 시 주석은 지난해 여름부터 군부와 갈등을 빚고 있는 거로 알려진다.
유상철 중국연구소장·차이나랩 대표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