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뉴시스 언론사 이미지

김문수 "대북 송금 재판, 어떻게 경제 살리나" 이재명 "억지기소"

뉴시스 하지현
원문보기

김문수 "대북 송금 재판, 어떻게 경제 살리나" 이재명 "억지기소"

속보
오전 10시 부산·울산·영남·전남 '폭염경보' 상향
김문수, 이재명 '커피값 120원' 발언에 "자영업자들 분노"
이재명 "2019년에는 커피 원재료값 120원, 발언 왜곡"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8일 서울 마포구 SBS프리즘타워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 시작에 앞서 준비하고 있다. 2025.05.18.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8일 서울 마포구 SBS프리즘타워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 시작에 앞서 준비하고 있다. 2025.05.18.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하지현 김경록 한재혁 기자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18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불법 대북 송금 혐의로 재판받고 있는 것을 두고 "이런 상태에서 어떻게 경제를 살릴 수 있겠나"라고 했다. 이 후보는 "억지 기소"라며 반발했다.

김 후보는 이날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SBS 스튜디오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토론회에서 "이 후보께서는 불법 대북 송금으로 재판받고 있지 않나"라고 물었다.

이 후보가 "네"라고 답하자, 김 후보는 "(이 후보가 경기지사 당시) 바로 밑에 있던 이화영 부지사가 징역 7년8개월을 받았다. 지사가 모르는 게 가능한가"라고 말했다.

이에 이 후보는 "억지 기소"라며 "김 후보는 김문수 후보 캠프에서 정치자금을 수천만원 받았을 때 모른다고 무혐의를 받지 않았나. 본인이 정치자금을 받았는데, 본인이 몰랐다는 이유로 무혐의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북 사업 자체야 당연히 안다. 그런데 민간업자가 나를 위해 북한에 100억을 몰래 줬다는 게 있을 수 있는 일인가"라고 반박했다.

그러자 김 후보는 "저도 경기도지사를 해봤다. (부지사가) 대북 사업을 하는데, 모르는 지사가 있나"라며 "지사가 모르는데 부지사가 북한에 돈을 보내는 게 가능한가. 이 후보는 어떻게 딱 잡아떼시나"라고 비판했다.


김 후보는 이 후보의 '커피 한잔 판매가 8000원, 원가 120원' 발언 논란에 대해 "유세에서 커피 한잔 원가가 120원이라고 했는데 지금도 그렇게 생각하시나"라며 "커피 파는 사람들이 굉장히 폭리를 취하는 것처럼 돼서 분노하고 있다"고 했다. 이 후보는 이와 관련 "2019년 봄경에는 커피 원재룟값이 120원 정도 한 것이 맞다. 인건비와 시설비가 감안되지 않은 것"이라며 "일부 발언을 떼내서 왜곡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후보는 민주당이 노란봉투법을 강행 추진하는 것을 두고도 "그동안 정부가 거부권을 2번 행사했는데, 대통령이 되면 또 밀어붙일 건가"라며 "헌법과 민법에도 안 맞고, 이런 부분을 계속 밀어붙이면 우리나라에서 기업을 할 수가 있나"라고 지적했다. 이에 이 후보는 "(김 후보의 발언이) 질문이었나"라고 반문했다.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18일 서울 마포구 SBS프리즘타워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에서 각 정당 대선 후보들이 선전을 다짐하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힘 김문수, 민주노동당 권영국, 개혁신당 이준석,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 2025.05.18.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18일 서울 마포구 SBS프리즘타워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에서 각 정당 대선 후보들이 선전을 다짐하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힘 김문수, 민주노동당 권영국, 개혁신당 이준석,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 2025.05.18. photo@newsis.com



이외에 김 후보가 반도체특별법의 '주 52시간제 예외' 조항 필요성을 주장하자, 이 후보는 "김 후보가 노동부 장관으로서 3개월 유연근무제를 6개월 늘리면 충분하다고 하지 않았나. 6개월을 늘린다는 게 정부 입장이었다"고 반박했다.


이에 김 후보가 "그렇다"라고 답하자, 이 후보는 "근데 뭐 어쩌라고"라며 더 이상 입장을 표하지 않았다.

그러자 김 후보는 "반도체는 속도전인데, 열심히 따라잡지 않으면 중국이 추격하고 대만은 이미 우리를 추월했다. 일정 연봉이 되는 분들은 52시간제 예외 (근무를) 보장하자는 것"이라며 "이것도 안 하면서 어떻게 우리나라 기술을 개발하고 딴 나라와 경쟁할 수 있겠나"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전직) 노동부 장관답지 않은 말씀"이라며 "본인이 말해놓고 (왜 그러나). 총 (근무) 시간을 늘리지 않고 변형에 따른 수당을 다 지급하면 (주 52시간제 예외는) 기존보다 못한 제도라 필요 없다고 결론이 났다"고 했다.


이에 김 후보는 "규제를 이렇게 많이 하면 과연 우리나라 산업이 어떻게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겠느냐는 점에서 매우 우려가 된다"고 지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udyha@newsis.com, knockrok@newsis.com, saebyeok@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