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원 범죄예방연구소 ‘도난범죄 동향’ 발표
‘CCTV 효과’ 도난 범죄 33% 감소
10건 중 8건 100만원 미만 ‘생계형’
CCTV 앞에서 발길 돌리는 경우도
범죄 시도 10건 중 4건은 ‘포기’
‘CCTV 효과’ 도난 범죄 33% 감소
10건 중 8건 100만원 미만 ‘생계형’
CCTV 앞에서 발길 돌리는 경우도
범죄 시도 10건 중 4건은 ‘포기’
![]() |
최근 보안 솔루션이 강화되면서 도난범죄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불황 장기화 탓에 100만원 미만 ‘생계형’ 소액 도난범죄가 기승을 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1위 보안 기업 에스원 산하 범죄예방연구소는 1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도난범죄 동향’을 발표했다. 에스원에 따르면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간 고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도난범죄 건수는 약 33% 감소했다. 실제 피해가 발생한 도난범죄 중 피해금액 100만원 미만 소액 절도가 81.8%를 차지했다.
절도 대상의 79.8%는 현금이었으며 담배와 식료품 등도 주요 표적이 됐다. 이 같은 소액 절도 사건은 증거 확보가 어렵고, 보상 절차가 복잡해 피해자가 실질적인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자영업자는 CCTV 캡처 화면을 매장에 부착하거나, 자비로 경고 문구를 게시하는 등 자구책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도난범죄 발생 시간대를 분석한 결과, 심야 시간대인 0시~06시에 발생한 사건이 전체의 70.6%를 차지했다. 이어 △18시~24시(19.9%) △06시~12시(6.7%) △시12~18시(2.8%) 순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심야시간대에 발생한 현금 도난 사건이 전체의 72.9%에 달해 보안 취약성을 해소하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도난범죄 10건 중 4건은 범행을 시도하다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도난범죄 중 ‘미수 사건’ 비중은 38.4%를 기록했다. 에스원 범죄예방연구소는 범행을 중단한 주요 원인은 현장에 설치된 CCTV 확인, 보안업체 직원의 출동 등 보안솔루션 작동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범인이 보안솔루션이 설치된 사실을 인지해 심리적 압박을 느껴 스스로 도주했다는 얘기이다.
이 같은 효과로 인해 CCTV 설치가 증가세를 타고 있다. 지난해 기준 공공 부문에 설치된 전국 CCTV 수는 176만대다. 10년 전보다 120만대나 증가한 수치다. 에스원의 CCTV 소비자 수 역시 2022년부터 매년 두 자릿수 성장률을 보였다. 특히 인공지능(AI) CCTV 상품인 SVMS는 지난해 판매가 279% 증가해 보급 속도가 빨라졌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