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뉴스1 언론사 이미지

"어, 트럼프가 언제 당선됐더라"…인지력 논란 일으킨 바이든 녹음 공개

뉴스1 강민경 기자
원문보기

"어, 트럼프가 언제 당선됐더라"…인지력 논란 일으킨 바이든 녹음 공개

속보
수단의 양대 준군사조직들, 연립정부 구성에 동의 발표

악시오스, 6시간 분량 특검 녹음파일 보도

'기억력 나쁜 노인'이라는 로버트 허 특검 발언 근거인 듯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조 바이든이 도널드 트럼프와의 첫 대선 토론에서 발언하고 있다.2024.06.27/ ⓒ 로이터=뉴스1 ⓒ News1 이강 기자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조 바이든이 도널드 트럼프와의 첫 대선 토론에서 발언하고 있다.2024.06.27/ ⓒ 로이터=뉴스1 ⓒ News1 이강 기자


(서울=뉴스1) 강민경 기자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의 인지력 논란이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로버트 허 전 특별검사가 지난 2023년 기밀문서 유출 혐의를 받던 바이든을 조사할 당시의 녹음 파일이 공개되면서다.

미국 정치전문매체 악시오스는 허 전 특검 측이 바이든을 직접 조사한 내용이 담긴 총 6시간 분량의 녹음 파일을 입수했다고 보도했다.

이 파일에 따르면 2023년 10월 8일과 9일 양일간 백악관 맵룸에서 각각 3시간씩 진행된 특검과의 문답 과정에서 바이든은 여러 차례 기억력 문제를 드러냈다.

조사관에 질문에 긴 침묵 후 더듬거리며 힘겹게 대답하고, 팩스나 게시판 등과 같은 일반명사를 떠올리지 못하는 식이었다. 장남인 보 바이든의 사망 연도인 2015년을 떠올리지 못했으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처음 당선된 해인 2016년도 기억하지 못했다.

기밀문서를 왜 보유하고 있었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답변하지 못했고 간혹 불분명한 발음으로 혼자 중얼거렸다.

바이든의 말이 뚝뚝 끊기는 동안 괘종시계의 초침이 째깍째깍 흘러가는 소리까지 고스란히 녹음됐다.


또 본인의 기억력 문제를 스스로도 인지하는 듯 기밀문서의 분류 과정에 관해 이야기하며 "내 말이 이해가 되냐"고 되묻기도 했다.

한국계 로버트 허 전 미국 특별검사가 12일(현지시간) 워싱턴의 레이번 하원 빌딩에서 열린 조 바이든 대통령의 기밀 유출·불법보관 의혹 사건과 관련한 하원 법사위원회 청문회에 도착을 하고 있다. 2024.3.13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한국계 로버트 허 전 미국 특별검사가 12일(현지시간) 워싱턴의 레이번 하원 빌딩에서 열린 조 바이든 대통령의 기밀 유출·불법보관 의혹 사건과 관련한 하원 법사위원회 청문회에 도착을 하고 있다. 2024.3.13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다만 때때로 농담을 던지거나 1960년 존 F. 케네디와 리처드 닉슨의 TV 토론 장면, 몽골에서 활로 화살을 쏴 본 경험, 코미디언 제이 레노와 함께 스포츠카를 운전했던 경험 등 과거의 기억을 풀어놓는 모습도 보였다.

바이든은 2016년 대선을 앞두고 버락 오바마 당시 대통령이 힐러리 클린턴의 당선 가능성을 더 높게 봐서 부통령이었던 자신의 출마를 원치 않았던 일도 언급했다.


바이든은 인터뷰 내내 기밀문서 유출 혐의로 조사를 받는 피의자라기보다는 과거를 회상하는 할아버지 같은 모습을 보였다고 악시오스는 평가했다.

이 같은 조사를 바탕으로 허 전 특검은 바이든에 대한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 허 전 특검은 "배심원들이 그를 '기억력이 좋지 않은 선의의 노인'으로 볼 가능성이 크다"는 결론을 내렸다.

기소해서 재판에 넘기더라도 바이든의 태도와 나이, 기억력 문제를 고려했을 때 고의성을 입증하기 어려워 유죄 평결이 나올 가능성이 작다고 여긴 것이다.


의회 다수당인 공화당은 한때 허 전 특검의 조사 영상과 녹음 파일을 제출하라고 요구했으나 바이든 대통령 재임 당시 직권으로 이를 거부했었다.

pasta@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