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7년과 2018년에 발생한 '경북 포항 지진'에 대해 국가가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는 1심 판결이, 나흘 전(13일) 항소심에서 뒤집혔습니다.
지역사회 반발이 거센데 어떤 점이 논란인지 TBC 박철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포항 지진 발생 11개월 전인 2016년 12월 18일, 지열발전 현장과 2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규모 1.3 미소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사업 주체인 넥스지오 컨소시엄이 두 번째 지하 물 주입 작업을 끝낸 날이었습니다.
다음날 새벽엔 0.6, 나흘 뒤엔 2.2, 29일엔 2.3의 지진이 이어졌습니다.
물 주입, 그러니까 수리 자극 시작 전 5년간 반경 15킬로미터 이내 지진이 규모 1.6 1건뿐이었던 걸 감안하면 잇따른 지진이 이 작업과 관련 있다는 걸 쉽게 알 수 있었습니다.
2.0 이상 지진은 위험 관리 최고 등급인 적색 단계지만 산업부와 포항시에 알려야 하는 매뉴얼은 무시됐고 오히려 며칠 뒤 관련 기준이 2.5 이상으로 완화되고 포항시는 통보 대상에서 빠졌습니다.
포항시는 지진 위험을 까맣게 몰랐고 결국 11월부터는 규모 5.4 지진과 100여 차례 여진 속에 포항은 쑥대밭이 됐습니다.
하지만, 항소심 재판부의 생각은 달랐습니다.
포항 지진이 지열 발전으로 촉발됐다는 정부조사연구단 조사 결과를 인정하면서도 지열 발전에 통상적으로 미소 진동이 발생하는 만큼 사업을 당연히 중단해야 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겁니다.
포항 지역 시민단체들은 피해자 권리 구제가 완전히 무시됐다며 지난 2월 교체된 2심 재판부가 5년 넘게 이어진 1심 재판의 방대한 자료를 제대로 검토했는지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모성은/포항지진범시민대책본부 의장 : 건별로 지진과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없다고 하면서 그 관계만을 주장하면서 책임 없다 이렇게 판결을 내리고 있습니다.]
날벼락같은 지진에 보금자리가 무너지고 수많은 여진으로 잠 못 들었던 포항 시민들, 7년 넘도록 정부 공식 사과는 받지 못했고 이젠 상고심에서 정부의 명백한 과실을 입증해야 할 처지가 됐습니다.
(영상취재 : 김명수 TBC, 디자인 : 김세윤 TBC)
TBC 박철희
▶ 2025 국민의 선택! 대선 이슈 모음ZIP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