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0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미국과 중국 간 양자 회담이 열리는 날 양측 대표단이 논의를 준비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지난 12일 미·중의 ‘관세 빅딜’로, 그동안 파국으로 치닫던 양국 관계가 해빙 국면에 접어들었다. 그동안 중국이 협상 지렛대로 활용한 것은 희토류 수출 금지 카드였다. 앞서 2010년 일본과 영토 분쟁 중 댜오위다오(釣魚島, 일본명 센카쿠열도) 해역에서 중국 어선이 나포됐을 때도 중국은 희토류 수출을 통제해 2주 만에 항복을 받아낸 바 있다.
그렇다면 한국은 어떨까. 중국이 전략 자원을 무기화한다면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 한국 반도체 산업에 필수적인 7대 핵심 원자재를 중심으로 최근 5년간 공급망 변화를 분석해봤다.
━
불화수소·제논 중국 의존도↓
![]() |
정근영 디자이너 |
15일 한국무역협회의 ‘7대 반도체 원자재 수입액 및 국가별 비중’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의존도는 일부 품목에서 다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반도체 식각·세정에 사용되는 불화수소는 2019년 일본의 수출 규제 이후 중국 수입액 비중이 80.1%(2022년)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이후 수입처 다변화와 국내 생산 확대에 힘입어 중국 의존도는 2023년 60.6%, 2024년 29.2%까지 낮아졌다.
반도체용 희귀가스 제논도 마찬가지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한때 중국 비중이 64.5%까지 높아졌지만, 미국·프랑스 등의 수입 비중을 늘리면서 지난해엔 8.6%까지 떨어졌다.
━
텅스텐·희토류 中 의존도 높아
![]() |
2012년 3월 14일 중국 장시성 난청현의 희토류 금속 광산 현장에서 노동자가 일하고 있습니다. 로이터-연합뉴스 |
다만 중국에 대한 전체적인 의존도는 여전히 높다. 지난해 원자재별 중국 수입액 비중(순위)을 살펴보면 ▶텅스텐가루 93.9%(1위) ▶네온 73.6%(1위) ▶희토류(화합물) 47.5%(1위) ▶실리콘웨이퍼 33.8%(1위) ▶불화수소 29.2%(2위) ▶제논 8.6%(3위) ▶크립톤 6.1%(2위)로 조사됐다.
특히 중국이 최근 수출을 막은 희토류와 텅스텐의 의존도가 높았다. 반도체 웨이퍼 연마제로 쓰이는 희토류 화합물은 2021년 이후 줄곧 중국 의존도가 50%에 육박하고 있다. 웨이퍼 표면에 전기가 통하는 길을 만들어주는 금속 배선에 필요한 텅스텐은 중국 수입액 비중이 90%대를 유지하고 있다. 선진국들이 높은 인건비와 강화된 환경 규제에 따라 채굴·가공을 축소하면서 중국의 영향력이 더 강해졌다.
한 가지 다행인 건 단기적으로 버틸 힘이 있다는 점이다. 중국 상무부의 사전 승인을 받으면 수입할 수 있고, 중국이 향후 전략 자원을 무기화한다고 해도 6개월~최대 1년 치의 비축 물량이 있어 여력이 있다는 게 산업통상자원부의 판단이다. 국내 반도체 기업 관계자는 “반도체 대기업은 물론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도 원자재를 비축했기 때문에 당장은 문제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장기적으론 공급망 다변화 필수
그러나 장기적 관점에서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전략은 필요하다. 앞서 중국산 희토류 의존도가 90%에 달했던 일본은 2010년 중국에 희토류 금수 조치를 당한 이후 공급망 확보에 열을 올렸다. 호주 광산기업 라이너스에 2억5000만 달러를 투자하는 등 탈중국을 외치면서 2019년 90%에 달했던 중국 의존도를 60%(2023년)까지 떨어뜨렸다.
강천구 인하대 제조혁신전문대학원 초빙교수는 “자립적인 밸류 체인을 만드는 게 핵심이다. 일본은 2010년부터 꾸준히 동남아·호주 등 희토류 원광 지분을 확보한 뒤 원천 기술을 개발해 중국에까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며 “한국처럼 수입처를 다변화하는 전략으로는 한계가 있다. 멈춰 있는 해외자원·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우림 기자 yi.woolim@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