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전 대통령이 12일 서울 서초구 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사건 3차 공판을 마친 뒤 법정을 나서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
6·3 대선은 내란 종식과 사회 통합, 사회 대개혁의 출발선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12·3 비상계엄 이후 세를 확장한 극우도 통합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 극우 판별 기준을 어디에 둬야 하는지를 두고 논쟁이 있었다.
한겨레는 ‘2025~26 유권자 패널조사’(1차)에서 ‘지지 후보가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통합 대상이라고 보는 범위’를 물었다. ①12·3 비상계엄은 잘못이라 보고,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 사람 ②비상계엄은 잘못이라 판단하지만, 탄핵엔 반대한 사람 ③비상계엄은 정당했으므로 탄핵에도 반대한 사람 세가지 조합으로 질문했는데, 지지 후보별 차이가 컸다.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 지지층에선 ①만 통합 대상으로 본다는 비율이 56.4%였다. ②도 가능하다는 응답은 29.7%였고, ③까지 껴안고 가야 한다는 이는 13.9%에 그쳤다. 여전히 비상계엄 선포를 민주당 탓이나 부정선거 의혹으로 정당화하고, 반성·사과의 말이 없는 윤석열·국민의힘에 대한 반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지지층에서는 ①27.8% ②33.9% ③38.4%로, 이 후보 지지층보다 세 그룹 비율 편차가 작았다. 당과 후보가 계엄·탄핵에 통일된 태도를 보여주지 못하면서, 지지층도 세 갈래로 나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대선 뒤 정치적 반대 세력에 대한 사법 처리를 묻는 질문(전혀 중요하지 않음 0점∼매우 중요 10점)에서는 두 후보 지지층이 모두 7.2점으로 차이가 없었다. 정치 성향별로는 진보(7.4점)와 보수(7.1점)에 견줘 중도(6.1점) 유권자가 사법 처리에 비교적 온건한 태도였다.
2025~26 유권자 패널조사
조사의뢰: 한겨레·한국정당학회, 조사기관: ㈜에스티아이, 조사일시: 5월8∼11일, 조사대상: 전국 만 18살 이상 남녀 2775명, 조사방법: 인터넷 조사(97.8%)와 유무선 전화면접조사(무선 1.5%, 유선 0.7%) 병행, 피조사자 선정 방법: 조사기관 구축 패널(유무선 RDD 및 통신사 가입자 패널 활용 모집 4864명), 응답률: 59.3%,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1.9%포인트,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누리집 참조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한겨레 후원하기] 시민과 함께 민주주의를!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