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에 “대만으로 거래했나” 쏟아져
미 국무부 “대만 정책 불변” 해명에도 논란 지속
싱크탱크 “민주주의 동맹이라는 것만으로는 이제 어렵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9년 6월 29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인사하고 있다. 오사카/AP뉴시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 관세 인하를 합의한 후 기자회견에서 뱉은 말이 SNS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중국 시장을 개방하는 대가로 대만을 내준 게 아니냐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12일(현지시간) 폭스비즈니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제네바 회담은 매우 우호적이었고 관계도 매우 좋았다”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할 것이다. 아마도 이번 주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완전히 개방하기로 했다. 중국에도 우리에게도, 통일(unification)과 평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과의 관세 분쟁이 해소됐음을 알리는 회견이었지만, 엑스(X·옛 트위터)에선 ‘통일’ 발언이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를 놓고 논쟁이 벌어졌다.
한 이용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잠정 무역 합의문에 통일을 언급한 것에 주목하는 사람이 없다는 사실이 놀랍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대만을 배신한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또 다른 이용자는 “대만 국적자로서 트럼프 대통령이 무슨 말을 한 건지 잘 모르겠다. 설명해 달라. 우린 중국과 통일하고 싶지 않다”고 적었다.
이 밖에도 통일 발언과 시 주석과의 통화 계획을 엮어서 조만간 어떠한 일이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는 글들이 쏟아졌다.
논란이 커지자 미 국무부 대변인은 CNA통신에 “트럼프 대통령은 분명히 미·중 무역 관계의 맥락에서 말한 것”이라며 “대만에 대한 미국의 정책은 변함없다”고 해명했다.
대만 외교부 역시 “미·중 무역 협상에서 대만 문제는 언급되지 않았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 |
라이칭더(가운데) 대만 총통이 지난달 21일 쑹산 공군기지에서 군인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쑹산/로이터연합뉴스 |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전 세계에 상호 관세를 부과한 이후로 미국 내 대만 입지가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은 꾸준히 나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 경제 성장에 집중한 나머지 전통의 동맹마저 타깃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는 이날 발간한 보고서에서 중국의 ‘폭력 없는 강압’ 전략과 ‘대만 내 미국 회의론 증가’가 미국과 함께하려는 대만을 흔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이 폭력적인 분위기를 조장하는 대신 저항이 무의미하다는 운명론을 대만 국민에 주입하고 있으며, 동시에 대만에선 트럼프 행정부를 더는 신뢰할 수 없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브루킹스연구소는 “지금은 대만 국민을 시험하는 시기”라며 “그들은 자국과 중국, 가장 중요한 글로벌 파트너인 미국과도 여러 도전에 직면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만 정치 체제는 혼란에 빠졌다. 라이칭더 총통 지지율도 하락했다. 대만 미래에 대한 여론도 마찬가지”라며 “지금이 바로 대만이 미국과 공동 이익을 위한 공동 노력을 추진해야 할 때다. 인공지능(AI) 혁명이 가속하면서 양국은 서로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기회를 놓치지 말고 꼭 잡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TSMC가 미국에 약속한 1650억 달러(약 234조 원) 규모의 투자가 거대한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싱크탱크 미국경제교육재단(FEE)은 별도 보고서에서 “4월 2일 전 세계 관세 목록이 발표됐을 때 대만은 새로운 지정학의 암울한 현실을 다시 확인했다”며 “이는 민주주의 국가로서, 소중한 동맹국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만으로는 더는 큰 성과를 거둘 수 없다는 점을 일깨워줬다”고 분석했다. 이어 “다소 모험적인 사람들은 미국이 중국과 새로운 무역 협정을 추진하면서 대만을 협상 대상으로 삼을 가능성에 대해 궁금해한다”며 “이제 대만은 미국으로부터 지지와 호의를 얻어야 한다”고 전했다.
[이투데이/고대영 기자 (kodae0@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