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이터=뉴스1 |
미국과 중국이 관세를 대폭 인하하기로 합의하면서 12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급등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160.72포인트(2.81%) 오른 4만2410.10에 거래를 마쳤다. S&P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84.28포인트(3.26%) 오른 5844.19에, 나스닥종합지수는 779.43(4.35%) 오른 1만8708.34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미중 양국은 지난 10~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고위급 무역 협상에서 상대국에 부과하는 관세를 각각 115%포인트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매기는 관세는 145%에서 30%로, 중국이 미국산 수입품에 매겼던 보복관세는 125%에서 10%로 각각 낮아진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가장 큰 것은 중국이 시장을 개방하기로 한 것"이라며 "어제 우리는 중국과 (무역) 관계를 완전히 재설정했다"고 밝혔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양국 대표단은 어느 쪽도 디커플링(공급망 완전 분리)은 원하지 않는다는 데 공감대를 이뤘다"며 "앞으로 몇주 안에 더 큰 합의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시장 예상보다 빠르게 무역 긴장이 완화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은 환호했다. 빅테크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 중에서 테슬라 주가가 6.75% 상승헀고 엔비디아(5.44%), 아마존(8.07%), 메타플랫폼(7.92%), 애플(6.31%) 등 도 일제히 급등했다.
베스트바이(6.56%), 델 테크놀러지(7.83%) 등 중국 생산자에 제품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도 대거 주가 강세를 보였다.
'공포지수'로 불리는 미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변동성지수(VIX)는 이날 18.39로 전 거래일 대비 3.51포인트 하락해 지난 4월2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처음으로 20선 밑으로 떨어졌다.
경기침체 우려가 줄면서 채권 금리와 국제 유가는 크게 오르고 금값은 떨어졌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이날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은 4.48%로 지난 9일 뉴욕증시 마감 무렵 대비 9bp(1bp=0.01%포인트) 올랐다. 채권금리가 올랐다는 것은 채권가격이 떨어졌다는 얘기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 종가는 배럴당 61.95달러로 전 거래일보다 93센트(1.5%) 상승했다. ICE선물거래소에서 근월물 브렌트유 선물 종가는 배럴당 64.96달러로 1.05달러(1.6%) 올랐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이날 미 동부시간 오후 1시44분쯤 온스당 3225.28달러로 전 거래일보다 3%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 금 선물 종가는 온스당 3228달러로 전 거래일 대비 3.5% 하락했다.
침체 우려가 완화되면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일찍 금리인하에 나설 수 있다는 기대감은 잦아드는 분위기다. 시카고선물거래소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은 오는 7월 29∼30일 FOMC에서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확률을 57%로 반영했다. 지난 9일 40%에서 20%포인트 가까이 상승한 수치다.
뉴욕=심재현 특파원 urm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