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동해 전기고속도로' 전 구간 주민합의… 동서울변환소만 남았다

서울맑음 / 21.6 °
한전 "국가 전체 손실 없도록 하남시 협조 필요, 주민합의에 총력 다할 것"


동해에서 생산된 전력을 수도권에 공급하기 위한 한국전력의 송전선로 건설사업의 전 구간 지역주민 합의가 완료됐다.

한전은 '동해안-동서울 초고압직류송전방식(HVDC) 송전선로'가 통과하는 경상북도, 강원도, 경기도의 79개 마을 전 구간에서 주민 합의를 100% 완료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전력 수요가 집중된 수도권에 안정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동해안 울진에서 경기도 하남까지 280km 구간(철탑 436기)에 걸쳐 국내 최장, 최대 규모의 HVDC를 구축하는 '전기 고속도로' 프로젝트다.

한전은 일부 지자체와 주민 반대로 전력 설비 건설이 여전히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동해안-동서울 HVDC 송전선로 경과 마을 주민과 지자체가 동해안에서 생산된 전기의 수혜지가 아님에도 국익을 고려해 대승적으로 사업에 협조하기로 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유일하게 해결되지 않은 하남시 동서울변환소 증설에 대한 주민 합의를 위해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동서울변환소 증설사업은 지난해 12월 경기도 행정심판 위원회로부터 '하남시의 동서울변전소 옥내화 및 변환설비 증설사업 인허가 불허처분 취소결정' 판결을 통해 사업추진의 정당성을 법적으로 확보했다.

그러나 하남시는 행정심판 이후 충분한 숙려기간을 가졌음에도 변환소 건설을 위한 선행사업인 변전소 옥내화 인허가만 처리하고, 정작 중요한 변환설비 증설사업은 주민 수용성 부족을 사유로 인허가를 현재까지 미루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한전은 국가 전력망 확충을 위한 시급성을 강조하며 지난 4월 16일부터 하남시청 앞에서 1인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하남시의 인허가가 계속 지연될 경우, 동해안 발전설비와 송전선로를 모두 건설해 놓고도, 마지막에 전기를 받아줄 변환소가 없어 그간 투입된 막대한 건설비용과 범국가적 노력이 수포로 돌아갈 수 있는 상황이다.

한전은 이로 인한 전기요금 상승의 피해는 고스란히 모든 국민들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다고 우려하고 있다.

김동철 한전 사장은 "국가 전력망 확충을 가로막아 대한민국 전체의 손실을 초래하는 일이 없도록 지역 주민과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한전도 사업이 적기에 완료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