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엑스포츠뉴스 고척, 박정현 기자) '원팀'이 된 한화 이글스다.
한화는 9일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2025 신한 SOL Bank KBO 리그' 키움 히어로즈와 주말 3연전 첫 번째 경기에서 7-5로 승리했다. 이날 승리로 팀은 10연승을 질주하며 지난 1999년 9월 24일(vs 현대 유니콘스)~10월 5일(vs 삼성 라이온즈) 이후 26년 만에 진기록을 썼다. 시즌 전적은 25승 13패로 리그 선두를 지켰다.
경기 초반 한화는 키움 타선을 막아내지 못하며 끌려갔다. 선발 등판했던 엄상백이 1회말부터 난조를 보여 선취점을 헌납했다. 1회말 선두타자 송성문에게 던진 경기 첫 구 시속 144km 포심 패스트볼이 통타 돼 우측 담장을 넘어가는 비거리 125m 솔로포로 이어져 0-1이 됐다. 1사 후에는 이주형에게 우측 외야 관중석에 떨어지는 비거리 125m 솔로 홈런을 맞아 0-2로 추가 실점했다.
![]() |
타선은 3회초 무사 1,2루에서 문현빈의 1타점 적시타로 한 점을 만회했지만, 엄상백은 좀처럼 안정감을 되찾지 못했다. 4회말 선두타자 김태진에게 우측 담장을 넘어가는 비거리 110m 솔로 홈런을 내준 뒤 후속타자 야시엘 푸이그에게 좌측 담장을 넘어가는 비거리 120m 솔로포를 허용해 1-4로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솔로포지만, 홈런 네 방을 맞으며 분위기가 쳐질 수 있던 상황. 그러나 타선은 힘을 내며 마운드에 힘을 실어주기 시작했다. 5회초 에스테반 플로리얼이 우측 담장을 넘어가는 비거리 130m 솔로포(시즌 3호)를 쳐 2-4로 추격을 시작했다. 7회초 무사 1,3루에서는 황영묵이 2루수 방면 내야 안타로 타점을 기록해 3-4로 따라갔다. 이어지는 1사 2,3루에서는 문현빈이 희생플라이를 쳐 4-4 승부의 균형을 맞췄다.
![]() |
하이라이트는 9회초였다. 2사 후 문현빈이 우측 담장을 넘어가는 비거리 125m 솔로 홈런(시즌 7호)을 쳐 5-4로 리드를 가져왔다. 2사 2루에서 채은성이 1타점 3루타, 2사 3루에서 이상혁이 1타점 2루타를 쳐 7-4를 만들었다. 마무리 투수 김서현이 9회말 1사 후 이주형에게 솔로포를 맞았으나 추가 실점하지 않으며 7-5로 승리했다.
엄상백은 고척에서 좋은 기억이 많다. 통산 17경기(5선발) 등판해 4승 4패 1세이브 38이닝 평균자책점 3.72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창원NC파크에 이어 두 번째로 좋은 성적이다. 고척에서 피홈런을 단 두 개만 내주는 등 호투를 펼쳤지만, 이날만 피홈런 4개를 허용해 5회를 채우지 못하고 일찌감치 마운드를 떠났다.
![]() |
선발 투수가 상대 타선을 효과적으로 묶지 못했기에 팀이 무너질 수 있었지만, 타선은 응집력을 바탕으로 연승이 깨지지 않도록 힘을 불어넣었다.
연승을 이어가려면, 투타 박자가 잘 맞아야 한다. 투수가 침체할 때는 타선에서 해주고, 반대로 타선이 주춤할 때는 마운드에서 활력을 불어넣어야 한다.
![]() |
올 시즌 한화는 '투수의 힘'으로 상승세를 이어왔다. 투수들의 퀄리티스타트(선발 6이닝 3자책점 이하)는 20번으로 리그 공동 2위며, 퀄리티스타트 플러스(선발 7이닝 3자책점 이하)는 10회로 리그 1위다.
코디 폰세-라이언 와이스-류현진-문동주-엄상백으로 이어지는 철벽 선발진이 제 몫을 해주며 페이스를 끌어올렸다. 실제 팀은 지난달 13일부터 지난달 23일까지 선발 8연승을 기록하며 선발 싸움에서 우위를 가져갔다.
타격 지표 역시 서서히 올라오고 있지만, 전체적인 흐름을 볼 때 상위권으로 보기 힘들다. 리그 초반 1할 7~8푼대에서 머무르던 팀 타율은 이후 꾸준히 올라왔지만 여전히 0.246으로 10개 구단 중 7위에 불과하다.
다만, 이날 타선은 필요할 때 점수를 내주며 투수들의 부진을 덮어줬기에 더욱 돋보였다. 일각에선 한화가 유독 상대 외인 투수와 자주 붙다보니 1~6회에 고전하지만 불펜 투수들과 격돌하는 7~9회에선 타격이 나쁜 편이 아니라는 평가를 한다.
그래서 이날 같은 승리가 더욱 반갑다. 초반부터 무너졌던 경기마저 잡아낸 '원팀' 한화는 투타 조화를 동력 삼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 |
사진=엑스포츠뉴스 고척, 김한준 기자
박정현 기자 pjh60800@xportsnews.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