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한국일보 언론사 이미지

랄프로렌, 칼하트, 베이프가 80% 할인?...해외 사기사이트 주의

한국일보
원문보기

랄프로렌, 칼하트, 베이프가 80% 할인?...해외 사기사이트 주의

속보
안철수 "비대위, 인적쇄신안 수용 어려워 답변…혁신위원장 사퇴"
올해 피해 사례 46건 확인
소비자원 "국내 접속 차단"


의류 브랜드 '베이프'를 사칭한 해외쇼핑몰 첫 화면. 한국소비자원

의류 브랜드 '베이프'를 사칭한 해외쇼핑몰 첫 화면. 한국소비자원


올해 3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칼하트 의류 80% 할인' 광고를 본 A씨는 홀린 듯 사이트에 접속했다. 제품을 여러 개 구입해 120달러(약 17만 원)를 지불한 뒤, A씨는 무언가 잘못됐다는 것을 감지했다. 칼하트 브랜드 공식 사이트와 유사했지만 결제 취소 버튼이 보이지 않았고, 고객센터도 연결되지 않았던 것이다.

실제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상담 사례로, A씨는 결국 환불을 받지 못했다. 소비자원은 "최근 시즌 오프, 봄맞이 할인 등을 내세워 랄프로렌, 칼하트, 베이프 등 유명 의류브랜드를 과도하게 할인해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한 후 제품을 배송하지 않거나 환불해주지 않는 브랜드 사칭 해외쇼핑몰에 대한 소비자 피해가 다발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고 9일 밝혔다.

소비자원은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와 협력해 올해 1월부터 유명 의류 브랜드 사칭에 따른 소비자 피해 사례 46건을 확인, 해당 사기사이트의 국내 접속을 차단했다. 피해를 접수한 소비자 90%(43건) 이상이 인스타그램 광고를 통해 해외쇼핑몰에 접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기사이트는 주소부터 브랜드명을 사용하고, 공식 로고와 첫 화면 구성 등을 그대로 썼다.

연령이 확인된 피해자 45명 중에선 20대(68.9%·31건)가 가장 많았다. 패션 브랜드 주요 소비층이면서 SNS를 활발하게 이용하는 세대라는 점이 주요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30대(22.2%·10건), 40대(6.7%·3건), 10대(2.2%·1건)가 뒤를 이었다. 이 같은 사기사이트에선 판매자의 정확한 정보 확인도 어려워 피해 구제가 쉽지 않다.

소비자원은 모니터링과 국내 접속 차단 조치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해당 브랜드, 공식 유통업자가 운영하는 쇼핑몰이 맞는지 검색 포털 등을 통해 반드시 확인하고, 피해 발생에 대비해 차지백 서비스 신청이 가능한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며 "해외쇼핑몰과 분쟁이 원만히 해결되지 않으면 국제거래 소비자포털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세종= 이유지 기자 maintain@hankook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