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스포티비뉴스 언론사 이미지

“내가 평균 구속 다 떨어뜨리네” 멋쩍은 류현진 너스레… 그런데 타자들이 공포에 떨고 있다

스포티비뉴스 김태우 기자
원문보기
속보
이재명 "이젠 국방장관도 민간에서 하는 게 맞지 않나"

[스포티비뉴스=김태우 기자] 한화는 올해 리그에서 평균 구속이 가장 빠른 팀이다. 시속 150㎞ 이상을 던질 수 있는 선수들이 즐비하다. 당장 문동주 김서현은 KBO리그에서 구속 1위를 놓고 다투는 선수들이다. 코디 폰세, 라이언 와이스라는 외국인 투수들도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시속 150㎞대 중·후반의 강속구를 던질 수 있다.

문동주 폰세 와이스 외에도 올해 가세한 엄상백 또한 공이 느린 선수는 아니다. 리그 평균 이상은 간다. 여기서 특별한 선수가 바로 팀의 토종 에이스인 류현진(38)이다. 류현진은 한화 선발 투수 5명 중 구속이 가장 느리다. 보통 시속 140㎞대 초·중반의 공을 던진다. 류현진도 “내가 평균 스피드를 다 떨어뜨리고 있다”고 농담을 할 정도다. 동료들보다 빠른 공을 던질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셈이다.

류현진도 전성기 때는 언제든지 150㎞를 던질 수 있는 투수였다. 좌완으로 150㎞은, 우완의 155㎞의 가치와 맞먹는다. 메이저리그에서도 한창 좋을 때는 95마일(153㎞) 수준의 패스트볼을 던졌다. 그러나 어깨 수술, 팔꿈치 수술이 겹치면서 이 구속은 계속 내려갔다. 메이저리그 경력 막판에는 “90마일(145㎞) 나오면 그날은 잘 던지고, 90마일이 안 나오면 불안하다”는 웃픈 분석도 있을 정도였다.

그러나 팀 평균 구속은 떨어뜨릴지 몰라도, 팀 마운드의 수준은 높이는 선수가 바로 류현진이다. 지난해 KBO리그로 돌아온 류현진은 복귀 시즌이 생각보다 험난했다. 많은 팬들이 “메이저리그에서 성공한 류현진이라면 나이가 들었어도 KBO리그 최고 투수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그 기대치에는 못 미쳤다. 지난해 28경기에서 158⅓이닝을 던지며 10승8패 평균자책점 3.87을 기록했다. 나쁜 성적은 아니었지만, 하필 그 대상이 류현진이었다.


나름대로 스트레스도 많이 받고, 자존심도 내심 상했을 법한 시즌이었다. 하지만 올해는 다르다. 계약이 늦어 오프시즌을 제대로 보내지 못한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넉넉하고 여유 있게 시즌을 준비할 수 있었다. 자동 볼 판정 시스템(ABS)에 고전했던 지난해와 비교해, 올해는 오히려 ABS를 이용한다는 느낌이 들 정도다. 류현진이 가지고 있는 제구력이 워낙 특별해서 그렇다. 예전 같았으면 던지지 않았을 코스를, ABS 시스템을 이용해 스트라이크로 바꿔 버린다.

투구를 보면 말 그대로 ‘스로잉’ 아닌 ‘피칭’이다. 공 하나를 자유자재로 넣었다가 뺀다. 볼 배합의 진수를 엿볼 수 있다. 강한 피칭도 매력이 있지만, 어떤 코스에 어떤 공이 들어올지 좀처럼 예상할 수 없는 류현진의 투구는 보는 맛이 충분하다. 아무래도 나이가 있어 좋은 몸 컨디션을 유지하는 기간이 짧아지고, 그래서 때로는 컨디션이 좋지 않은 날도 있지만 노련하게 이겨간다. 다 경험이고, 다 실력이다.


6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삼성과 경기에서도 류현진의 진가가 드러났다. 투구가 완벽해서가 아니라, 안 좋은 날을 어떻게 극복하는지를 볼 수 있어서다. 올 시즌 앞선 7경기에서 경기 최다 4사구가 2개였던 류현진은 이날 볼넷 3개와 몸에 맞는 공 하나를 내줬다. 밸런스가 좋지 않았다. 하지만 노련하게 이 위기를 극복하며 5이닝을 1실점으로 버텼다. 삼성 타자들의 수를 훤히 꿰뚫는 듯한 피칭으로 밸런스와 구위 난조를 이겼다. 안 좋다, 안 좋다 했는데 실점은 한 점이었고, 결국 승리투수로 팀의 8연승을 이끌었다.


김경문 한화 감독은 “류현진의 장점은 컨디션이 안 좋아도 타자를 잡을 수 있는 타고난 기술이 있다는 것이다. 좋으면 좋은 대로, 안 좋아도 타자를 잡아낼 수 있는 특별한 기술이 있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흉내내기 어려운 기술이다. 절정을 유지하고 있는 제구력에 노련함까지 보여주며 올 시즌 8경기에서 4승1패 평균자책점 2.91의 좋은 성적으로 순항하고 있다. 평균 구속은 까먹을지 몰라도, 팀 평균자책점은 깎고 있는 에이스다.

ABS 시대에 구위파 선수가 유리하다는 것은 어느 정도 사실로 드러나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이제 나이 마흔을 바라보는 류현진이 지금껏 경력보다 힘든 과제를 맞이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류현진답게 그 과제를 풀어나가고 있고, 이는 후배들에게 새로운 교과서가 될 전망이다. 지난해 살짝 균열이 있었던 류현진이라는 브랜드가, 다시 상대 타자들에게 공포의 대상으로 돌아오고 있다. 아예 안 될 것 같을 때보다, 될 것 같은데 안 될 때가 타자들의 심리를 더 깨뜨리는 법이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