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20년 전 홍준표가 만든 '당무우선권'…김문수에만 작동 안돼

서울흐림 / 22.9 °

윤석열 대선 후보 땐 이준석 의사 무시하고 사무총장 권영세로 교체

홍준표 후보 시절 친박 징계 해제 조치…김문수 당내 기반 없어 난항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와 권영세 비대위원장이 4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현충탑에서 묵념하고 있다. 2025.5.4/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와 권영세 비대위원장이 4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현충탑에서 묵념하고 있다. 2025.5.4/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서울=뉴스1) 박기현 기자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국민의힘 지도부 간 단일화를 둘러싼 극한 갈등이 당무우선권 해석 논쟁으로 옮겨붙고 있다.

김 후보는 당무우선권을 통해 당무에 한해 거의 전적인 결정권이 부여된다고 주장하지만, 지도부는 이 권한이 '절대 반지'와 같은 권능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맞서고 있다.

김문수 "발동" 지도부 "인정 안 돼"…해석 분분

8일 구여권에 따르면 당무우선권을 둘러싼 해석 다툼은 규정 자체에 결함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김 후보는 이날 "당무우선권을 발동한다"며 "현시점부터 당 지도부의 강압적 단일화 요구를 중단하라"고 강조했다.

이 권한은 당무 74조 '대통령 후보자는 선출된 날로부터 대통령 선거일까지 선거 업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필요한 범위 내에서 당무 전반에 관한 모든 권한을 우선해 가진다'는 규정에 근거한다.

앞서 김 후보는 5일 장동혁 의원의 사무총장직 임명이 무산되자 당무우선권을 꺼내든 바 있다. 당시 김 후보는 "이미 수차례에 걸쳐 사무총장 임명을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당 지도부가 이를 이행하지 않아 사실상 임명이 불발된 것은 중대한 당헌·당규 위반 행위"라며 "당무우선권 침해 행위를 즉시 중단하고, 필요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이에 당 지도부 소속 이양수 사무총장은 "어느 법을 준용하더라도 후보자의 전권을 인정하는 경우는 없다"며 "과거 전례에도 후보가 결정하면 당 지도부가 존중하여 당규상 절차대로 따라준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양수 국민의힘 사무총장이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선거관리위원회의를 마친 후 회의장을 나서고 있다. 국민의힘은 황우여 선관위원장이 사퇴하면서 이양수 사무총장이 선관위원장에 위촉됐다고 밝혔다. 2025.5.7/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이양수 국민의힘 사무총장이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선거관리위원회의를 마친 후 회의장을 나서고 있다. 국민의힘은 황우여 선관위원장이 사퇴하면서 이양수 사무총장이 선관위원장에 위촉됐다고 밝혔다. 2025.5.7/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과거에도 논란 이어져…후보-지도부 대립 때마다 논란

통상적으로 대선 기간에는 후보를 중심으로 당이 정비되는 만큼, 이 권한은 대선 후보가 규정상의 문제 없이 당무를 볼 수 있도록 포괄적으로 규정됐다.

2005년 한나라당 시절 혁신위원장을 맡아 혁신안을 주도하며 이 조항을 직접 만든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당시 "옛날 총재 때는 당이 하나가 돼서 대선에 임했지만, 지금은 효율적으로 대선에 임할 수 없다"며 "당권과 대권을 일체로 갔다가 대선 직후부터 대통령이 당선되면 당권과 대권이 분리된다"고 도입 취지를 설명한 바 있다.


물론 한나라당→새누리당→자유한국당→미래통합당을 거쳐 국민의힘으로 바뀌며 새누리당 당시 '필요한 범위 내에'라는 조항이 추가됐다.

다만 당이 후보 중심으로 기능하도록 만든 이 포괄적 규정은 지도부와 후보 간 입장이 일치할 때는 별다른 문제를 만들지 않지만, 지금과 같이 둘 간의 입장이 정면 출동할 때는 각종 해석의 여지를 낳으며 문제를 확산시키는 것이다.

지난 20대 대통령 선거 당시에도 당무우선권 해석을 둘러싸고 윤석열 대선 후보와 이준석 당대표 간 논쟁이 격화한 적 있다. 윤 후보는 이 대표의 의사를 무시하고 당무우선권을 발동해 사무총장을 권영세로 교체했다.


윤 후보와 이 대표는 이른바 '울산 회동'으로 극적으로 갈등을 봉합하면서 당무우선권에 대해 '후보자는 선거에 있어 필요한 사무에 관해 당대표에 요청하고, 당대표는 후보자의 의사를 존중해 따르는 것'으로 해석하는 데 합의했다.

이보다 앞서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2017년 대선 후보 시절 당무우선권을 발동해 '탈당파 복당 및 친박근혜계 징계 해제' 조치를 감행했을 때도 내홍이 불거진 바 있다. 당시 정우택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유권해석을 받아놓아야 앞으로 나쁜 선례의 기준이 되지 않는다"고 반발했다.

당시에는 홍준표·윤석열 후보 모두 당내 지위가 확고한 만큼 후보가 의지를 관철하는 데 큰 무리가 따르지 않았다.

그러나 현재 김 후보는 당 소속 의원 전반과 당원 80% 이상이 단일화를 요구하고 있어서 김 후보의 당무우선권이 다양한 해석 속에서 결과적으로 김 후보의 의지가 관철되지 않는 국면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로선 지도부는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와 단일화를 전제로 한 여론조사를 강행할 태세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가 7일 오후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단일화 관련 회동을 하기 전 악수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5.7/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가 7일 오후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단일화 관련 회동을 하기 전 악수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5.7/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masterki@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