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 "韓, 당에 맡겼다는 말만 반복" 韓측 "金, 구체적 제안 안해"
金 "11일 지나면 자동 단일화되나" 韓 "그렇다, 후보 등록 안할 것"
金 "후보 등록 생각 없는 분 누가 끌어냈나"…국힘 지도부 겨냥 비판
金 "11일 지나면 자동 단일화되나" 韓 "그렇다, 후보 등록 안할 것"
金 "후보 등록 생각 없는 분 누가 끌어냈나"…국힘 지도부 겨냥 비판
![]() |
김문수-한덕수 대선 단일화 위한 회동 |
(서울=연합뉴스) 이유미 박형빈 조다운 기자 =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예비후보가 7일 후보 단일화를 위한 담판을 벌였지만,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한 채 결렬됐다.
다만 두 후보는 8일 추가로 만나 단일화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김·한 후보는 이날 오후 6시 3분께부터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배석자 없이 1시간 15분가량 회담을 진행했다.
김 후보는 회동이 끝난 뒤 기자들에게 직접 결과를 설명했고, 한 후보는 회담장에서 먼저 퇴장해 이정현 대변인이 브리핑했다.
김 후보는 "제 나름대로 생각하는 단일화 방안에 대해 말씀드렸다"고 밝혔다.
이어 "한 후보는 '당에 다 맡겼다. 당이 하자는 대로 한다'는 말씀을 확고하고 반복적으로 했다"며 "의미 있는 진척이 없었다.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 후보가 단일화와 관련해 당에 일임한다는 입장만 거듭한 탓에 구체적인 단일화 일정과 방식에 대해 논의하지 못했다는 주장이다.
김 후보 측 조용술 대변인은 '김 후보가 한 후보에게 사퇴를 요구했느냐'는 기자들 질문에 "그렇지는 않다"고 답했다.
김 후보 측 관계자는 통화에서 "김 후보가 '나는 당무 우선권을 가진 당의 후보이고, 당의 입장이 내 입장이다. 그러니 이야기를 하자'고 했지만, 한 후보는 '나는 당에 일임했다'고만 말했다"고 전했다.
![]() |
회담장 떠나는 한덕수 |
한 후보 측 이 대변인도 기자들에게 "특별히 합의된 사안은 없다"고 밝혔다.
이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한 후보는 김 후보와 만나 '단일화 방식 등은 국민의힘과 국민의힘 후보가 결정할 일이며, 어떤 방식을 택하든 아무 이견 없이 응하고 승복하겠다'고 말했다"며 "이에 대해 김 후보는 별다른 발언을 하지 않았고, 한 후보에게 구체적 제안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 후보는 회담에서 오는 11일 대선후보 등록 마감 전에 단일화가 완료되지 않으면 등록하지 않겠다는 입장도 재확인했다.
김 후보는 "(한 후보) 본인이 '11일이 지나면 후보 등록을 안 하겠다'고 했는데, 그러면 '11일이 지나면 자동으로 단일화가 되는 것이냐'고 하니까 '그렇다'고 했다"며 "(한 후보는) '11일까지 진전이 없으면 등록하지 않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전혀 후보 등록할 생각이 없는 분을 누가 끌어냈나. 이 일을 누가 했느냐. 후보 간 만나 서로 대화할 기회를 완전히 다 막아놓은 사람이 누구냐. 매우 안타깝고 유감스럽다"며 당 지도부를 겨냥했다.
두 후보는 이날 단일화에 대해 접점을 찾지는 못했지만,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집권할 경우에 대한 우려는 공유했다.
김 후보는 "이 후보가 앞으로 집권하면 앞으로 어떤 불행한 일이 있을 거냐에 대한 우려를 함께 나눴다"고 말했다.
![]() |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담판' 결렬 |
김 후보는 회동 종료 이후 입장문을 통해 한 후보에게 8일 추가 회동을 제안했다. 한 후보 측은 기존 일정을 조정해 회동에 응하겠다고 답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이날 단일화 담판이 결렬되자, 당원 대상 여론조사 결과를 공개하고 김 후보에 대한 압박 강도를 높였다. 해당 조사에서는 '후보 등록 마감일 전 단일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86.7%를 차지했다.
두 후보가 추가 회동을 약속했지만, 당 소속 후보와 무소속 후보로서 단일화 시점에 따른 유불리가 엇갈리는 데다 김 후보 측에선 당 지도부가 한 후보 중심의 단일화를 하려 한다는 의구심을 갖고 있어 단일화 협상은 험로가 예상된다.
![]() |
김문수-한덕수 대선 단일화 위한 회동 |
yumi@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