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하나 가르치면 알아서 둘 배운다" 멀티 모달 학습법 개발

속보
21대 대선 첫날 사전투표율, 오후 5시 현재 17.51%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인공지능대학원 윤성환 교수팀의 윤 교수(오른쪽)와 이재준 연구원. UNIST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인공지능대학원 윤성환 교수팀의 윤 교수(오른쪽)와 이재준 연구원. UNIST 제공


[파이낸셜뉴스] 인공지능(AI)에게 한 유형의 데이터만 가르쳐서, 다른 유형의 데이터 학습을 촉진 시킬 수 있는 학습 방식이 개발됐다.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 학습에서 꼭 필요하다고 여겨지던 데이터 정렬 작업 없이도 학습이 가능해져 데이터셋 구축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인공지능대학원 윤성환 교수팀은 데이터 정렬과 매칭 없이 하나의 데이터 유형만으로 다른 유형의 모델 학습을 촉진 시킬 수 있는 AI 멀티모달 학습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멀티모달 학습은 오디오, 이미지, 텍스트와 같이 서로 다른 데이터 모달리티를 결합해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처리하는 학습법이다. 멀티 모달 학습을 위해서는 다양한 모달리티 데이터를 정렬하고 이에 대해 쌍을 이루는 라벨링 과정이 필요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 또 명확히 짝지어진 데이터가 부족하면 성능이 저하되기까지 했다.

연구팀이 제안한 학습법은 짝지어지지 않은 데이터로도 멀티 모달 학습이 가능하다. 음성과 인간 표정을 함께 분석해 감정을 이해하는 AI 비서나, CT 영상과 진료 기록을 의사처럼 결합해 진단하는 의료AI 구축에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연구팀은 텍스트 모델이 이미지 모델 학습을 돕거나, 오디오 모델이 언어 모델 성능을 높이는 등의 실험을 진행했고, 기존보다 높은 정확도를 기록하며 모달리티 간 학습 촉진 효과를 확인했다. 특히, 오디오와 이미지처럼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은 조합에서도 AI의 성능 향상이 나타났다.

윤성환 교수는 “정렬된 데이터셋 확보가 어려운 의료, 자율주행, 스마트 AI 비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 인공지능 3대 학회인 ICLR(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Representations) 2025에 채택됐다. ICLR 2025는 지난 4월 24일부터 28일까지 싱가포르에서 개최됐으며, 1만1672편의 논문 중에서 3646편이 채택됐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