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더 많은 포탄 생산해야” 지시
기계제작의 생산·기술력 제고도 주문
대러 포탄 지원에 따른 이익 확보 뜻
러시아와 군사기술 협력도 염두에 둔 듯
기계제작의 생산·기술력 제고도 주문
대러 포탄 지원에 따른 이익 확보 뜻
러시아와 군사기술 협력도 염두에 둔 듯
![]()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제2경제위원회 산하 중요 군수기업소를 현지지도하면서 포탄 생산과 기계공업부문 운영 상황을 살폈다가 조선중앙통신이 7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군수 공장을 둘러보면서 포탄의 생산량 증대와 기계공업의 생산·기술력 제고 등을 지시했다. 김 위원장은 이들 시설의 현대화도 강조했다. 북한이 러시아에 포탄 추가 지원 의지를 나타내면서, 향후 러시아와의 군사기술 협력 가능성을 염두에 둔 행보라는 해석이 나온다.
김 위원장은 제2경제위원회 산하 중요 군수기업소를 현지 지도하면서 포탄 생산 및 기계공업 부문의 실태를 파악했다고 노동신문이 7일 보도했다. 제2경제위원회는 북한의 군수 경제를 총괄하는 기관이다.
김 위원장은 포탄 종합생산 기업소 여러 곳을 둘러보고 “더 많은 포탄을 생산해 우리 무력의 전력 확대에 이바지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기업소의 현대화가 높은 수준에 도달하고 포탄 생산 능력이 고속 성장한 것을 두고 “커다란 만족을 표시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신문은 “포탄 생산 실적을 평년 수준의 4배, 최고 생산 연도 수준의 근 2배로 끌어올리는 혁혁한 장성 속도를 기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또 새로 착공하거나 운영하는 중요 군수 기업소에도 이런 현대화를 적용해야 한다는 취지로 말했다. 신문이 이날 공개한 사진을 보면, 김 위원장이 새로운 기업소 건설과 관련한 조감도 앞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북한의 포탄 생산량 증가는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에 포탄을 제공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김 위원장이 포탄 생산량 증가를 지시한 건 앞으로도 대러 추가 포탄 지원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확보하는 등 북·러 협력을 지속하겠다는 뜻이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은 이날 기계제작 종합 기업소도 방문했다. 이곳은 무기에 들어가는 각종 부품 등을 제작하는 시설로 추정된다. 신문이 공개한 사진에는 600mm 초대형방사포의 발사관으로 보이는 물체가 쌓여 있는 모습이 담겨 있다.
![]()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제2경제위원회 산하 중요 군수기업소를 현지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7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이 600mm 초대형방사포의 발사관으로 보이는 물체 옆에 서 있다. 연합뉴스 |
김 위원장은 여기서도 기업소의 현대화를 재차 언급했다. 김 위원장은 그러면서 “이 기업소가 나라의 군수공업 분야와 인민경제 여러 분야의 생산 기술력 제고를 위해 지능화, 고속화, 정밀화, 복합 다기능화된 기계제작 설비들을 더 많이 개발 생산하는 데 주력할 것”을 지시했다.
이는 북한이 향후 러시아로부터 첨단 군사기술 등을 제공받는 상황을 고려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기계제작 종합 기업소의 지능화·정밀화 등의 목표는 무인기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첨단 군사장비의 생산 기반 강화를 시사한 것으로 보인다”라며 “러시아는 북한에 우주기술과 드론, 핵추진잠수함 등 기술이나 장비를 제공할 가능성이 제기되는데, 북한이 역설계 등을 통해 기계공업 현대화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임 교수는 “북·러가 향후 무기 생산과 관련한 공동의 공급망을 구축할 가능성도 있다”라며 북한이 이번에 언급한 ‘기계공업 발전 전략보고서’에 자신이 분석한 내용이 담겨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정희완 기자 roses@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 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