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신안산선 붕괴 한 달...관리 감독 권한 없는 지자체는 '답답'

서울흐림 / 22.8 °
[앵커]

2명의 사상자를 낸 신안산선 광명 구간 붕괴 사고가 발생한지 약 한 달이 지났습니다.

현재까지도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피해는 오롯이 광명시가 입었지만 지자체는 평상시 공사현장 안전관리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조차 없어 즉각 대응을 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서승택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달 11일, 경기 광명시 일직동의 신안산선 공사현장 붕괴 사고로 50대 근로자 1명이 숨졌습니다.

경찰과 국토부 등 관계 기관은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고 발생 현장이 위치한 광명시는 550억 원의 시 예산을 투입했음에도 사고 발생 전까지 공사 진행 상황조차 보고받지 못했습니다.


현행 철도지하화 통합 개발법에는 시민 안전과 관련해 지자체 개입 규정이 전무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지자체는 공사 설계나 안전 관리에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없습니다.

사고가 발생하기 불과 수시간 전까지도 붕괴 사고 우려가 없다는 현장 관계자들의 말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겁니다.


<공사 관계자> "일부 변형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토사 유출이라든지 이런 부분이 없기 때문에 노파심에라도 흔히 얘기하는 지반 함몰이라든지."

광명시는 그동안 공사 설계조차 알 수 없었던 만큼 국토부 주도의 사고조사위원회와 별도로 자체적인 시민안전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사고 원인 분석에 나섰습니다.

<박승원 / 광명시장> "신안산선 광명 구역에 대한 시민 대표 그리고 전문가들을 모아서 대책위를 구성하고 광명 구간에 대한 안전 진단 그리고 사고 예방을 위해서 더욱 노력해 나갈 생각입니다."

시는 또 제2의 신안산선 붕괴사고를 막기 위해 앞으로 지하 공사에서 지자체가 안전 관리에 참여할 수 있도록 관련법 개정을 촉구한다는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서승택입니다.

[영상취재 위유섭]

[영상편집 이애련]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서승택(taxi226@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