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10월 펜실베이니아주 오크스에서 열린 캠페인 타운 홀에서 연설하고 있다. 트럼프의 모습 뒤 배경에 그의 화석연료 부흥 정책을 상징하는 구호 ‘드릴 베이비 드릴’이 적혀 있다. AP/연합뉴스 |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연방정부가 정기적으로 발간하는 주요 보고서인 ‘국가기후평가’(NCA) 작성에 참여한 과학자 400명을 전원 해임한 것을 두고, 미국의 대표적 과학자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미국기상학회(AMS)와 미국지구물리학회(AGU)는, 국가기후평가 보고서 발간이 불투명해졌다며 해당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학회 차원에서 계속 발표하겠다고 최근 밝혔다. 두 단체는 해당 연구자들의 논문과 자료를 모아 동료평가를 거친 특별 연구집을 발간한다는 계획이다. 이 연구집은 공식 연방 보고서를 대체할 순 없지만, 미국 정부의 보고서가 축소되거나 발간이 지연될 경우 이를 보완하는 구실을 하게 된다. 브랜든 존스 지구물리학회 회장은 성명에서 “우리 지역사회와 이웃, 아이들이 기후변화의 증가하는 위험으로부터 보호받고 대비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우리 모두의 의무”라며 “과학적 탐구는 지속해야 하며 우리는 그 공백을 메우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
국가기후평가 보고서는 미국 내 기후변화의 현재와 미래 영향을 평가해 25년에서 최대 100년 뒤까지를 전망하는 주요 보고서다. 4년마다 발간해 정책 결정, 재난 대응, 산업계,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2028년 6차 보고서 발간을 앞두고 있다. 2023년에 발표된 5차 보고서는 기후변화가 “극한 상황의 빈도와 강도 증가, 전염병 및 매개체 질병의 증가, 식량과 수질, 안보 저하를 통해 신체적·정신적·영적 건강과 복지에 해를 끼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저자 전원을 해임하고 나서, 6차 보고서는 기후위기를 부정하거나 축소하는 입장을 반영하거나 아예 발간이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2018년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도널드 위블스 미국 일리노이대 교수(대기과학)는 에이피(AP)와 한 인터뷰에서 “트럼프 정부가 어떤 종류의 문서를 발행할지 걱정이며 아마도 꽤 엉터리일 것”이라며 “과학적 근거 없이 정책을 수립하면 위기 대응만 늦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