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강원도 인제에서 축구장 100개 면적을 태운 대형 산불이 발생했는데 단 한 명의 인명 피해도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정부가 영남권 산불 발생 이후 새로 마련한 대피 체계를 적용했는데 어떤 것들이 바뀌었을까요?
이상현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26일 강원도 인제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했습니다.
최대 초속 20m의 강풍을 타고 삽시간에 번져 축구장 100개 면적인 73ha를 태우고 나서야 꺼졌습니다.
20시간 동안 타들어 갔지만 인명과 재산 피해는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김남호 / 인제국유림관리소장 (지난달)> "강풍 예보에 따라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영남 산불 이후 개선된 주민 대피 체계를 적용하여 주민 대피를 실시하였습니다."
31명이 사망하는 등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낸 영남권 산불 이후로 주민 대피 체계가 대폭 개선됐습니다.
산불 화선 정보가 부족해 확산 예측이 어려울 경우 이번 경북권 산불의 최대 풍속인 시간당 8.2km가 기준이 됩니다.
주민 대피 경보도 산불 확산 속도에 따라 3단계로 나눠 올라갑니다.
준비 단계에서는 산불 확산이 8시간 이상 걸리는 지역에도 대피 지시가 내릴 수 있다는 안내가 이뤄집니다.
산불이 8시간 이내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실행 대기 단계에서는 행동 요령 및 대피 안내를 하고 노약자들은 이 단계에서부터 사전 대피를 합니다.
5시간 이내 도달지역은 위험구역으로 즉시 대피 명령이 내려집니다.
<원명수 / 국립산림과학원 센터장> "상황이 긴급한 경우는 기술적 수단과 함께 마을 순찰대 등 인적 수단을 함께 활용하여 주민 대피 안내 및 이동을 지원해 나갈 계획입니다."
산림당국은 조속한 산불 진화를 위해 임도 확충에도 나서기로 했습니다.
오는 2030년까지 폭 5m의 산불진화 임도를 해마다 500㎞씩 늘려 나갈 계획입니다.
산림청 계획대로 진행되면 산불진화 임도는 현재 856㎞에서 2030년 3천 856km까지 늘어나게 됩니다.
연합뉴스TV 이상현입니다.
[영상취재기자 박종성]
#산불 #대피 #임도 #개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상현(idealtype@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