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金·韓 단일화 못하게 주도한 사람들, 능지처참"..속도전 주문 거세져

속보
이재명 "나도 가족도 부정부패 안해…권력으로 막을 일 없어"
김문수 후보 측에 단일화 촉구 잇따라
한덕수 측, 金측 단일화 방안 모두 수용
박수영 "빨리 단일화 하고 이재명 잡으러 가야"
조해진 "단일화 안해서 지면 파문당할 것"
장성민 "김문수 착각하면 안돼, 한덕수 효과"
김 후보 측 "金, 단일화 추진 실무진 구성 지시"
진화 나섰지만 상황 지켜봐야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와 5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에 입장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사진=뉴시스화상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와 5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에 입장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사진=뉴시스화상


[파이낸셜뉴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간 단일화 기한이 코앞에 다가오고 있지만, 정작 김문수 후보 측에서 후보 단일화에 대한 움직임에 변화가 보이자 반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선기간 한덕수 후보와의 단일화에 가장 적극적이던 김문수 후보가 국민의힘 대선후보로 선출돼 단일화에 속도가 붙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으나, 김 후보 측에서 선출 직후 바로 단일화에 나서지 않으면서 이번 주 내로 단일화를 마쳐야 한다는 의견이 당 안팎에서 빗발치고 있다.

잇따른 우려 목소리에 김 후보 측은 5일 "김문수 후보는 단일화 추진과 관련해 선대위에 실무진 구성을 지시했고, 조속한 구성을 통해 단일화가 진전되기를 기대하고 있다"면서 "더 이상 단일화에 대해 불필요한 추측이 없길 바란다"고 진화에 나섰지만 실제 추이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 후보를 지지하면서 일찌감치 한 후보와의 단일화를 제시했던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SNS에 "빨리 단일화 하고 이재명 잡으러 가야 된다"는 짧은 글로 김 후보에 단일화 논의에 적극 나설 것을 압박했다.

조해진 전 국민의힘 의원은 "단일화를 안 해서 지면 그 일을 주도한 사람들은 정치적으로 능지처참을 당하게 될 것"이라면서 "보수 정치에서 영구제명되고, 파문당할 것이다. 정신 차려야 한다"고 강한 어조로 경고했다.

조 전 의원은 "대법원 재판 때문에 단일화 안 해도 이재명을 이길 수 있다는 생각은 오판도 보통 오판이 아니다"라면서 "그런 망상 때문에 단일화가 무산된다면 우리 손으로 죽을 이재명을 다시 살려주는 꼴이 된다"고 우려했다.


대통령실 미래전략기획관 출신인 장성민 전 의원도 김문수 후보를 향해 "착각하면 안 된다. 자기 힘으로 된 게 아니다. 한덕수 효과다"라면서 "보다 정확히 말한다면 한덕수 후보와의 단일화를 갈망한 단일화 표심"이라고 직격했다.

장 전 의원은 "김 후보가 당선된 것은 개인 김문수에 대한 지지표가 아니라 한덕수 후보와의 단일화를 통한 집권표심"이라면서 "이 진리를 거스르지 않은 정치인이라야 나라를 살릴 수 있다는 국민적 믿음을 얻는다. 국민의 믿음을 저버리고 설 수 있는 정치인은 아직 못 봤다. 김덕수만이 희망이다"라고 충고했다.

이같은 당 안팎의 단일화 촉구 목소리에도 김 후보 측 인사들은 당장 단일화에 나서는 것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면서 신경전이 가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김 후보 측근인 차명진 전 의원은 "당장 보쌈말이 하듯 한씨에게 후보를 갖다 바치는 단일화 방법으로 정말 시너지 효과가 날까"라면서 "동지들, 여러분이 선택한 김문수를 믿으시라. 그의 판단과 행보를 믿읍시다"라고 호소했다.

한덕수 후보 측은 단일화 방안을 김문수 후보 측의 의견을 모두 수용키로 한 바 있어, 단일화 논의는 당장이라도 추진될 수 있다는게 국민의힘 측 설명이다.

국민의힘 핵심관계자는 "한 후보 측이 단일화에 조건이 없다고 할 만큼 열려 있어 단일화 논의는 언제든 가능한 상황"이라면서 "하루가 급한데 김 후보 측에서 미적거리는 모양새만 보여도 지지율이 출렁거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