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뉴시스 언론사 이미지

'지브리풍' 세대 따라 활용 방식 달랐다…20대는 저장 60대는 프사로

뉴시스 하다임 인턴
원문보기

'지브리풍' 세대 따라 활용 방식 달랐다…20대는 저장 60대는 프사로

속보
박억수 특검보 "'구속심사' 尹 20분간 최후진술"
[서울=뉴시스] 챗GPT 생성 이미지. 2025.05.0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챗GPT 생성 이미지. 2025.05.0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하다임 인턴 기자 = 최근 챗GPT의 '지브리풍' 이미지 생성 기능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이를 활용하는 방식에는 세대별 차이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지난 1일 발표한 '지브리 스타일, 생성형 AI에 대한 인식을 바꾸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생성형 AI 사용자 중 59.5%가 이미지 변환 기능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 중 52.4%는 변환한 이미지를 소셜미디어(SNS)나 메신저 프로필로 활용하거나 지인에게 공유하는 등 적극적으로 사용했으며, 30.9%는 개인적으로 저장하거나 보관하는 데 그쳤다.

연령별 차이도 두드러졌다. SNS나 메신저 프로필에 이미지를 활용한 비율은 60대가 32.8%로 가장 높았고, 20대는 19.6%로 가장 낮았다. 반대로 이미지를 개인적으로 저장하거나 보관한 비율은 20대가 37.7%로 가장 높았고, 60대는 20.7%로 가장 낮았다. 연령이 높을수록 이미지를 외부에 공유하는 적극적인 활용 경향이 나타난 셈이다.

이미지 생성 기능을 사용해 본 이들 가운데 85.9%는 결과물에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83.5%는 생성형 AI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고 응답했다. 또 77.8%는 앞으로 생성형 AI를 더 자주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생성형 AI의 주요 활용 목적으로는 △정보 검색(81%) △글쓰기 및 다듬기(51.1%) △사진·이미지 생성 및 보정(51.0%) △외국어 번역(42.1%) △여행·학습·업무 일정 관리(30.5%) 등이 꼽혔다.


특히 '글쓰기 및 다듬기' 항목에서는 연령대별 차이가 뚜렷했다. 20대가 68.3%로 가장 높았고, 이어 30대(60.0%), 40대(48.3%), 50대(37.6%), 60대(29.3%) 순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활용 비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서울=뉴시스] '지브리 스타일, 생성형 AI에 대한 인식을 바꾸다' 조사 결과. (출처=한국언론진흥재단) 2025.05.0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지브리 스타일, 생성형 AI에 대한 인식을 바꾸다' 조사 결과. (출처=한국언론진흥재단) 2025.05.0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한편 생성형 AI 사용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았다. 전체 응답자의 73.0%는 AI 사용으로 스스로 생각하는 시간이 줄어드는 것 같다고 느꼈으며, 64.4%는 AI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될까 우려한다고 답했다.

연령대별로는 60대에서 '생각하는 시간이 줄었다'는 응답이 73.6%로 가장 많았으며, 20·30대는 각각 66.5%, 67.0%가 'AI 의존이 걱정된다'고 답해 젊은 층에서도 고민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언론 뉴시스 hadaim@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