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트럼프 주니어, 1박 2일 방한 마무리…韓재계 젊은피 '릴레이 회동'

속보
트럼프 "푸틴 하는 짓 맘에 안 들어…추가 제재 검토"

정용진 신세계 회장이 초정해 '가교' 역할
한화그룹 3형제·신유열 롯데지주 부사장 등 '오너 3세' 대거 참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30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을 통해 출국하고 있다. 트럼프 주니어는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초청으로 지난 29일(어제) 방한해 1박 2일 일정으로 국내 주요 대기업 총수와 릴레이 면담을 가졌다.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30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을 통해 출국하고 있다. 트럼프 주니어는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초청으로 지난 29일(어제) 방한해 1박 2일 일정으로 국내 주요 대기업 총수와 릴레이 면담을 가졌다. /뉴시스


[더팩트 | 김태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인 트럼프 주니어가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초청으로 1박2일 간의 방한 일정을 마치고 지난달 30일 밤 늦게 미국으로 출국했다.

1일 재계에 따르면 트럼프 주니어는 전날 서울 강남구 역삼동 조선팰리스 서울 강남 등지에서 재계 20위권 내 대기업 총수들과 '릴레이 회동'을 진행했다.

트럼프 주니어는 전날 저녁 모처에서 만찬을 가진 후 밤 늦게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전세기편으로 미국으로 돌아갔다.

전날 오전부터 조선팰리스 서울 강남에서는 트럼프 주니어와 재계 총수 간 면담이 이뤄졌다.

우선 한화그룹 오너가 3세 3형제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과 더불어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부사장 등 한국 재계의 젋은 오너 3세들이 트럼프 주니어와의 만남을 가졌다.

신 부사장은 아버지 신동빈 회장과 동남아 출장길에 동행했다가 따로 귀국해 전날 면담에 참석했다. 트럼프 주니어와 롯데그룹의 신사업인 바이오 분야에 대한 협력을 논의했을 것으로 보인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2022년 인수 및 증설한 미국 뉴욕의 시러큐스 공장을 통해 국내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중 처음으로 미국 내 생산을 시작한다.

이재현 CJ그룹 회장도 트럼프 주니어와 회동했다. CJ그룹 산하 CJ제일제당은 2019년 미국 식품업체 슈완스를 인수해 현재까지 20개의 식품 생산기지를 미국에 보유하고 있다. 또 CJ푸드빌 역시 미국 조지아주에 약 700억원을 투자해 9만㎡ 규모의 냉동생지 및 케이크 생산공장을 건설 중이다.

국내 IT업계에선 대표로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이 전날 오전 11시께 트럼프 주니어와 회동했고, 허용수 GS에너지 사장 등도 트럼프 주니어와 만났다.


금융권에서는 양종희 KB금융 회장이 트럼프 주니어와 국내와 글로벌 금융시장 전반에 대해 논의했다.

한편, 트럼프 주니어의 이번 방한은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트럼프 정부와의 소통을 위한 가교 역할을 해달라는 재계의 요청에 따라 평소 친밀한 관계인 트럼프 주니어를 초청하면서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주니어는 JD 밴스를 부통령으로 추천하는 등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막후 실세'로 언급되는 인물로,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정책으로 기업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가운데 이뤄진 만남에 관심이 집중됐다.


이번 한국 재계와의 릴레이 회동을 주선한 정 회장은 여러 재계 인사 중에서도 트럼프 주니어와 각별한 사이로 알려졌다.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정 회장은 복음주의 보수 기독교 기반의 트럼프 일가와 같은 '종교적 철학 지향점' 아래 한미 양국에서 깊은 우정을 이어온 것으로 전해졌다.

kimthin@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