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직 어린 선수라 내야에서의 가능성을 조금 더 타진해야 한다는 일부의 목소리도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런 목소리가 싹 사라졌다. 외야, 중견수 포지션에서 워낙 좋은 활약을 하고 있어서다. 김지찬은 지난해 135경기에서 타율 0.316, 출루율 0.405, 42도루를 기록하며 삼성 막강 타선을 이끌었다. 잘 나가고, 잘 뛰는 돌격 대장이었다.
처음에는 당연히 중견수 포지션이 낯설 수밖에 없었지만, 박진만 삼성 감독이 놀랄 정도로 빠르게 적응했다. 리그 최고의 주력을 가진 선수가, 낙구 지점 파악에 대한 경험이 쌓이면 어떤 수비를 보여줄 수 있는지를 증명했다. 올 시즌에는 수비가 더 좋아졌다는 평가도 받았다. 수비 부담을 덜어낸 김지찬은 시즌 18경기에서 타율 0.354, 출루율 0.432, 7도루를 기록하며 공격에서도 펄펄 날았다.
당장 리그 최고 중견수에 당당히 도전장을 내밀 만한 성적이었다. 장타가 많은 선수는 아니지만 이건 대다수의 중견수들에게 마찬가지로 해당하는 사안이었다. 타율과 출루율, 도루 능력이 좋고 수비까지 이제는 다른 선수들에 도전할 수 있는 위치에 오름에 따라 올해는 골드글러브 수상도 노려볼 만하다는 칭찬이 자자했다.
![]() |
김지찬은 29일 인천SSG랜더스필드에서 열린 SSG와 경기에서 1회 땅볼을 치고 1루로 뛰던 도중 다시 왼쪽 햄스트링에 통증을 느꼈다. 바로 교체됐고, 30일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됐다. 검진 결과 손상이 발견됐다.
왼쪽 햄스트링은 같은데, 부위가 다르다. 박진만 삼성 감독은 30일 인천 SSG전을 앞두고 “이전에는 햄스트링 바깥쪽이었는데 이번에는 안쪽”이라면서 손상 정도는 약 1.5㎝ 정도라고 설명했다. 같은 부위 재발이 아니라는 점에서 안도의 한숨을 쉴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돌려 말하면 왼쪽 햄스트링 전체가 시한폭탄이 됐다는 점에서 딱히 좋은 징조라고는 볼 수 없다.
![]() |
김지찬은 리그 최고의 주자 중 하나다. 물리적인 속도도 좋고, 스타트도 좋고, 센스도 좋다. 주자가 갖춰야 할 모두를 가지고 있다는 극찬을 받는다. 실제 지난해 42개의 도루를 성공하는 동안 실패는 단 네 차례였고, 올해는 7번의 도루 시도에서 모두 성공했다. 중견수 수비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것도 그 발을 앞세운 넓은 수비 범위가 원동력이었다. 그런데 햄스트링 부상은 주력을 제한할 수 있는 심각한 위협이다. 재발 가능성이 높다는 것도 변수다.
박진만 감독은 앞으로 김지찬을 조금 더 관리하며 출전시킬 뜻을 드러냈다. 하지만 그렇다고 지명타자로 출전시키거나, 도루를 자제시킬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 때문에 이번 재활은 김지찬과 삼성 모두 굉장히 세심하게 바라봐야 한다는 주장은 일리가 있다. 단순히 올 시즌 성적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10년이 달린 재활일 수 있다. 다행히 김성윤이 좋은 활약을 해주고 있고, 최근 6연승으로 성적에 약간의 여유가 생겼다는 점은 김지찬의 재활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 |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