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현대차 가장 먼저 부른 트럼프 "땡큐, 뷰티풀"…삼성 또 언급

속보
이재명 "헌법상 개헌은 재임 당시 대통령엔 적용안돼"
/로이터=뉴스1

/로이터=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현대차를 비롯해 대미(對美) 투자를 발표한 주요 기업 CEO(최고경영자) 20여명을 백악관으로 초청해 일일이 호명하면서 감사의 뜻을 전하고 관세 정책 효과를 강조했다. 미국 경제가 올 1분기 역성장한 배경으로 관세 정책이 지목되는 상황에서 제조업 부흥을 이끌기 위한 경제정책이 성공하고 있다는 주장을 부각하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글로벌 기업 CEO 20여명이 참석한 '미국 투자' 행사에서 "이 방에 참석한 기업들이 모두 합쳐 2조달러 이상의 신규 (대미) 투자를 발표했다"며 "전체적으로는 (다른 기업과 합치면) 8조달러에 달하고 이는 미국 역사상 전례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새로 만들어진 모든 신규 투자와 신규 공장, 신규 일자리는 미국 경제가 강하다는 신호"라며 "미국의 미래를 확신한다는 선언"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이런 것은 전에 본 적이 없다"며 "오늘 이 자리에 오지 않은 삼성도 관세를 이겨내기 위해 큰 공장을 건설할 것이라고 오늘 아침에 발표했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낮 각료회의에서도 "회의 직전에 삼성이 관세 때문에 미국에 대규모 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들었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을 가장 먼저 거명하면서 "땡큐(감사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현대차가 지난달 백악관에서 발표한 21억달러(약 30조원) 규모의 투자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루이지애나주 제철소 건설에 따른 일자리 창출을 언급한 뒤 재차 "호세, 땡큐, 뷰티풀(아름답다)"이라고 말했다.

/로이터=뉴스1

/로이터=뉴스1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감사 인사에 청중석에 앉아있던 무뇨스 사장은 자리에서 일어나 손을 흔들면서 답례 인사를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엔비디아, 존슨앤드존슨, 일라이릴리, 제너럴일렉트릭(GE), 소프트뱅크, 도요타자동차 등 참석한 기업도 일일이 거명하면서 CEO들을 일으켜세운 뒤 투자 실적을 언급하면서 "땡큐", "어메이징(대단하다)", "판타스틱(환상적)" 등의 감탄사를 연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글로벌 기업의 대미 투자에 대해 "(미국의) 정신, 관세, 인센티브 때문"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날 자리에 참석한 CEO 중에선 GE, 엔비디아, 소프트뱅크 CEO가 연설대로 나와 트럼프 대통령에게 감사의 뜻을 직접 밝혔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엔비디아의 기술을 다음 세대로 발전시키기 위해 모든 것을 미국에 구축할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 정책, 지원, 그리고 강력한 독려가 없었다면 미국에서의 제조업은 이처럼 빠른 속도로 발전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손정의(일본명 손 마사요시) 소프트뱅크 회장은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튿날 오픈AI, 오라클과 공동으로 발표한 5000억달러(약 710조원) 투자 계획을 언급하면서 "이것은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인프라 투자이자 인공지능(AI)을 위한 최대 규모의 인프라 투자"라며 "미국이 계속해서 AI 리더십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로이터=뉴스1

/로이터=뉴스1


/로이터=뉴스1

/로이터=뉴스1


트럼프 대통령은 1분기 GDP(국내총생산)가 3년 만에 역성장한 데 대해선 "수입, 재고, 정부 지출 등 왜곡 요인을 제외한 근원 GDP는 3%가 올랐다"며 "역성장은 바이든 경제 때문"이라고 다시 한번 주장했다. 또 "우리는 1월20일에야 정권을 인수했고 여러분은 우리에게 좀더 시간을 줘야 한다"며 "몇주 안에 미국 역사상 가장 큰 감세안을 통과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의약품에 대한 품목별 관세 부과를 예고한 것과 관련해선 "수많은 제약사가 미국으로 유입될 것이고 우리는 그들에게 그렇게 할 수 있는 시간을 줄 것"이라며 "그 뒤 관세 장벽)을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 금리에 대해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금리를 낮춰야 한다"며 "내가 파월 의장보다 금리를 더 잘 아는데 금리는 인하돼야 하고 그것이 긍정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심재현 특파원 urm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