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트럼프 때문에..." 日, 오늘 금리동결·성장률 1% 미만 하향할 듯

속보
트럼프 "협상 진전없는 EU에 6월 1일부터 50% 관세 제안"
닛케이 "정책금리 현행 0.5% 유지 방침", 관세 정책 영향 본격 반영
실질 GDP와 물가 상승률 모두 하향 조정 가능성, 1% 밑돌 경우 5년 내 세 번째
"관세 영향 지켜봐야" 신중론 속 1일(현지시간) 미일 2차 관세협상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 연합뉴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 연합뉴스


【도쿄=김경민 특파원】 일본은행(BOJ)은 1일 열리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정책금리를 현행 0.5%로 유지할 방침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BOJ는 앞서 1월 회의에서 정책금리를 0.5%로 인상한 바 있다. 닛케이는 "이번 회의에서도 추가 인상 없이 동결 기조를 유지할 예정"이라며 "내부에서는 미국 관세 정책이 일본 경제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신중론이 강하다"고 전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경제·물가 전망(전망 리포트)도 함께 발표한다. 전망 리포트에는 2025년부터 2027년까지 연도별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과 소비자물가지수(CPI, 신선식품 제외) 상승률 전망치가 담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영향이 본격 반영되면서 2025년과 2026년 실질 GDP 증가율 전망이 1월보다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크다.

1월 발표된 보고서에서는 정책위원 9명의 중앙값 기준으로 2025년 실질 GDP 증가율을 1.1%, 2026년을 1.0%로 예측했다. CPI 상승률은 각각 2.4%, 2.0%였다. 이번에는 2027년 전망치도 처음으로 제시된다.

관세 영향이 반영되면서 2025~2026년 실질 GDP 증가율은 1%를 밑돌 가능성이 있다. 지난 5년간 실질 GDP 성장률이 1%를 밑돌았던 해는 2023년(0.7%), 2020년(-3.9%), 2019년(-0.8%) 등 세 차례에 불과했다. 미국의 관세 강화가 일본 수출기업 실적에 타격을 주는 데다 세계 무역 위축으로 글로벌 경제가 둔화할 경우 일본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2025년 CPI 상승률도 2% 수준으로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관세 정책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복합적이다. 경기 둔화는 물가를 누를 수 있지만 공급망 충격이 오히려 물가를 끌어올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의 대미 관세 협상은 아직 진행 중이다.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은 1일(현지시간) 미국 측과 두 번째 협의를 가진다.

신문은 "BOJ는 일시적 변동을 제외한 기조적 물가 상승률이 2%를 향해 높아지는 전망이 현실화하면 그에 맞춰 금리를 인상하겠다는 우에다 가즈오 총재의 기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며 "하지만 관세로 인해 금리 인상 속도가 늦춰질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BNP파리바증권은 "다음 금리 인상 시점을 예측하긴 어렵다"면서도 "현 시점에선 내년 1~3월로 보고 있으나 글로벌 경기 둔화가 예상보다 가벼우면 연내로 앞당겨질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