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네이버·다음, 대선 체제 돌입…뉴스·여론조사·투표소 한눈에

서울맑음 / 13.1 °
여론조사, 특집 생방송, 선거 관련 기사 등 한눈에
댓글 조작 등 매크로, 허위조작정보 등 부정행위 대응 강화
[서울=뉴시스] 네이버가 6월3일 실시하는 제21대 대통령 선거(대선)를 맞아 지난 29일 선거 관련 정보를 담은 특별 페이지를 개설했다고 30일 밝혔다. (사진=네이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네이버가 6월3일 실시하는 제21대 대통령 선거(대선)를 맞아 지난 29일 선거 관련 정보를 담은 특별 페이지를 개설했다고 30일 밝혔다. (사진=네이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윤정민 기자 = 네이버와 다음이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대선 특집 페이지를 마련했다. 대선 관련 기사, 여론조사, 투표소 정보 등을 주요 정보를 제공한다. 여론 조작을 막기 위해 댓글 조작과 같은 매크로와 허위조작정보 전달 등 부정행위 단속을 강화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전날, 카카오는 이날 각각 대선 특별 페이지를 구축했다.

네이버 대선 특별 페이지는 ▲각 언론사가 직접 뽑은 주요 선거 기사를 제공하는 '언론사 픽(PiCK)' ▲언론사의 여론조사 보도, 분석, 특집 기사 등을 모아 보는 '여론조사' ▲선거 당일 방송사 특보 생중계, 출구조사 결과 등을 제공하는 '특집 라이브' 등으로 구성된다.

네이버 뉴스는 각 언론사가 댓글 제공 방식을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언론사별 댓글 선택제를 지난 2018년 10월부터 운영하고 있다. 선거 기간에도 동일하게 운영한다. 선거 섹션 뉴스 댓글 정렬 옵션, 운영 여부는 언론사 정책에 따라 제공한다. 본인 확인을 거친 계정만 24시간 내 댓글 20개까지 작성할 수 있다.

네이버는 뉴스 댓글 집중 모니터링 전담 담당자를 확충하는 등 24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하며 각 부서 핫라인을 구축해 매크로 활동, 부정행위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한다고 말했다. 선거 기간 후보자 관련 댓글 삭제 요청은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정책 규정에 따라 처리되며 관련 법령에 근거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판단에 따른다.

이 밖에도 네이버는 댓글 작성, 공감 참여에 있어 대립이나 갈등이 과열되는 양상을 방지하기 위해 기사 내 특정 댓글에 일정 기준 이상 공감, 비공감이 집중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해당 기사에 안내 문구를 표기하고 언론사에도 알림을 발송하는 기술을 적용했다.


다음 달 11일 대통령 후보자 등록이 마감되면 선관위에서 제공한 이름, 사진, 출생, 직업, 학력 등 후보자 정보를 알린다. 후보자명에 자동완성과 검색어 제안 기능이 제한된다. 이용자의 다양한 검색 형태를 고려해 후보자 이름을 정확하게 입력할 경우 자동완성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선거 기간 이용자가 입력한 검색어가 오타로 추정돼도 후보자명을 검색어 제안으로 노출하지 않는다.

[서울=뉴시스] 카카오 포털 다음은 30일 대통령 선거 특집 페이지를 구축했다. (사진=다음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카카오 포털 다음은 30일 대통령 선거 특집 페이지를 구축했다. (사진=다음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다음 대선 특집 페이지 '다음을 만드는 선택'은 뉴스, 여론조사, 언론사 특집, 경선·토론 탭으로 구성돼 있다. 대선 일정과 선거 정보, 관련 뉴스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각 탭에서는 언론사에서 준비한 대선 특집 기사와 페이지를 모아서 보여준다. 예비 후보들의 공약과 정책 기사뿐만 아니라 여론조사, 팩트체크, 심층 기획, 르포 등의 기사들을 주제별로 확인할 수 있다. 경선, 토론회 관련 영상도 볼 수 있다.


다음은 이달 중순 후보자와 공약, 투표소 등의 선거 정보를 추가 업데이트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대선 서비스 운영 원칙도 공지했다. 공정하고 충실한 선거 정보를 제공하고 허위조작정보나 딥페이크 등 잘못된 정보나 기사를 모니터링하고 24시간 운영하는 고객센터 등을 통해 신속히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alpaca@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