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사건 외압 의혹의 수사 포렌식 참관을 위해 23일 경기도 과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들어서며 입장문을 읽고 있다. 연합뉴스 |
‘채상병 순직사건'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휴대전화 포렌식을 다시 시작했다.
임 전 사단장은 30일 오전 정부과천청사에 위치한 공수처에 출석해 휴대전화 포렌식 절차에 참관하고 있다. 그는 이날 공수처에 출석하며 기자들과 만나 “가능한 한 빨리 수사가 될 수 있도록 저의 (녹음) 요청을 철회했다”고 밝혔다. 그는 ‘휴대전화의 비밀번호가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는지’를 묻는 질문에 “네”라고 답하며 “저도 빨리 비밀번호가 풀려서 구명로비가 없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기를) 학수고대하고 있고 경찰청 능력으로도 충분히 풀렸을 거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수처는 지난 23일에도 포렌식 절차 참관을 위해 임 전 사단장을 불렀으나 임 전 사단장이 참관 절차에 대한 녹음을 요구하면서 포렌식이 중단됐다.
임 전 사단장은 채상병 순직 사건 당시 무리한 수색작전을 지시해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대구지검의 수사를 받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 등의 외압의혹과 관련한 공수처 수사에서는 참고인 신분이다.
임 전 사단장은 이날 공수처를 비롯한 각 수사기관의 수사가 늦어진다고 비판했다. 그는 “구명로비 뿐 아니라 저와 관련한 여러 수사가 공수처에 있는데 과다하게 지연되고 있다”며 “(대구지검 수사도) 거의 수사가 종료되는 것으로 알았는데 아직 발표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공수처는 지난해 1월 임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를 확보했지만, 임 전 사단장이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한다고 주장해 휴대전화의 잠금을 해제하지 못했다. 이에 공수처는 지난해 8월 임 전 사단장을 소환해 참관한 상태에서 포렌식 작업을 진행했지만 지난해 12월3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내란 수사가 대대적으로 진행되면서 채상병 순직사건 수사는 사실상 중단됐다. 최근 임 전 사단장 휴대전화의 포렌식 작업을 시작으로 약 8개월 만에 관련 수사가 재개하는 모양새다.
공수처는 해병대 수사단이 임 전 사단장 등에게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해 사건을 경찰에 넘기는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과 대통령실·국방부 관계자들이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과 임 전 사단장이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 등을 통해 구명로비를 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이다.
정혜민 기자 jhm@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