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SKT 가입자 대거 이탈…번호이동 시스템 한때 먹통

속보
바그다드 전 후세인 궁전의 미국 대학에서 첫 졸업생 배출
이틀간 SKT서 7만명 넘는 가입자 이탈
번호이동 시스템 2시간 가량 장애 발생
“기회 잡아라” KT·LGU+ 홍보 열 올려
SK텔레콤 해킹 사태로 고객 이탈이 가속화되면서, 고객 유치를  위한 통신 3사 간의 과열 경쟁이 극심해지고 있다. 서울 시내 한 SKT 대리점 앞에서 유심을 교체하려고 시민들이 줄을 서 기다리고 있다.  [연합]

SK텔레콤 해킹 사태로 고객 이탈이 가속화되면서, 고객 유치를 위한 통신 3사 간의 과열 경쟁이 극심해지고 있다. 서울 시내 한 SKT 대리점 앞에서 유심을 교체하려고 시민들이 줄을 서 기다리고 있다. [연합]



SK텔레콤 해킹 사태로 고객 이탈이 가속화되면서, 고객 유치를 위한 통신 3사 간의 과열 경쟁이 극심해지고 있다.

이탈을 막으려는 SKT와 이탈 분을 흡수하려는 KT·LG유플러스 간의 유치전이 치열해지면서, 급기야 SKT의 번호 이동 시스템이 2시간가량 먹통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경쟁 통신업체에서는 SKT가 고객 번호 이동을 막으려 의도적으로 전산을 지연시켰다는 의혹까지 내놓고 있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정확한 사실 확인에 나섰다.

▶SKT 가입자 이탈 7만명 ‘초유의 위기’…타통신사 유치전도=3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29일에만 3만5902명의 SK텔레콤 가입자가 다른 통신사로 이동했다. 이탈이 지속될 경우 SKT의 ‘무선통신 1위 사업자’ 지위가 흔들릴 수 있다는 관측까지 제기되고 있다.

유심 무상교체가 시작된 첫날인 28일에는 SKT 가입자 3만4132명이 다른 통신사로 이탈했다. 유심 무상교체가 시작된 후 이틀 만에 7만명이 넘는 이탈자가 발생한 셈이다.

1~25일 SK텔레콤에서 KT·LG유플러스로 이탈한 순감 인원은 2107명이다. 일 평균 약 84명에 불과했던 것을 감안하면 평소의 400배가 넘는 수치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이전인 이달 초 기준, 가장 많은 가입자가 이동한 날(14일)에도 이탈자는 199명이었다.


SKT에서 이탈한 고객을 흡수하려는 KT와 LG유플러스의 유치전도 어느 때보다 과열됐다. 일부 KT·LG유플러스 대리점에서 최신 스마트폰을 공짜로 제공하거나 25만~33만원에 달하는 페이백까지 제공하겠다고 홍보하고 있다.

온라인상에서는 한 매장이 ‘SK해킹’이라는 대형 입간판을 세워두고 고객을 유치하는 모습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경쟁사 일부 대리점에선 “유심 수급 지연시 추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등 허위 사실이 포함된 내용으로 홍보를 한 사실이 알려지며 빈축을 샀다. 통신사들은 일부 대리점의 일탈이라고 선을 그으며, 판매장려금 역시 올린 적 없다고 일축했지만 유통 현장에서 각종 프로모션을 내세운 ‘고객 잡기’는 쉽게 가라앉지 않는 모습이다.

▶SKT 번호이동 전산망 2시간 먹통…과기정통부 조사=급기야 29일에는 SKT 번호 이동 전산 시스템이 오후 3시부터 약 2시간 동안 장애를 일으키는 일도 벌어졌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가 이상 징후를 파악, 과기정통부에 이를 구두로 보고하면서 먹통 사실이 알려졌다. SKT에서 다른 통신사로 번호 이동을 하려는 이용자들은 약 2시간 가량 불편을 겪었다. 이에 SKT 측은 “과부하로 전산 접속이 일시적으로 원활하지 않았으나 곧 정상화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다른 통신사에서 SKT으로 번호 이동은 가능했던 것으로 파악되며 통신업계에서는 SKT가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해 고의로 시스템을 막은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이에 과기정통부까지 정확한 사실 확인에 나섰다. 문제가 파악될 경우, SKT에 시정명령 등의 조치까지 예고했다. 과기정통부 매뉴얼에 따르면 2시간가량 번호 이동에 제한이 생길 시, 문제를 일으킨 통신사는 ‘위해사업자’로 지정된다. 다른 통신사뿐 아니라 이용자도 피해를 보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이날 헤럴드경제와 통화에서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라 조사를 나갈 것이고, 결과에 따라 시정명령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도 이날 SKT 본사를 방문해 사고 현장 및 조치 현황을 점검하고, 사태 해결을 위해 전사 차원에서 역량을 총동원 해달라 당부했다. 박혜림·고재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