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북한판 이지스함’ 최현함, 진수 사흘만에 무장시험

서울맑음 / 23.8 °
김정은 “우리식 함상화력체계 정말로 훌륭”
북한판 ‘판치르’ 등 러시아 기술 이전 가능성
북한, 초음속·전략 순항미사일 시험발사 주장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30일 미사일총국과 국방과학원, 탐지전자전총국이 구축함 ‘최현함’에 탑재된 무장 체계들의 성능 및 전투 적용성 시험에 착수했다고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30일 미사일총국과 국방과학원, 탐지전자전총국이 구축함 ‘최현함’에 탑재된 무장 체계들의 성능 및 전투 적용성 시험에 착수했다고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판 이지스함’으로 추정되는 신형 다목적 공격형 구축함 ‘최현함’(5000t급)이 진수한 지 불과 사흘 만에 무장시험을 실시했다.

북한의 급속한 함정 기술 발전과 관련해 우크라이나 전쟁 참전에 따라 러시아가 반대급부로 기술을 이전해줬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28일과 29일 미사일총국과 국방과학원, 탐지전자전총국이 최현함 무장체계 성능과 전투 적용성 시험에 착수했다고 30일 보도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28일에는 초음속순항미사일과 전략순항미사일, 반항공미사일 시험발사와 127㎜ 함상자동포 시험사격이 진행됐다.

북한이 초음속순항미사일을 시험발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전략순항미사일은 화살 계열로 추정된다.

신문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최현함의 함수와 함미 수직발사장치(VLS)에서 순항미사일을 콜드런치 방식으로 발사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앞서 1월 화살 계열 순항미사일의 지상 콜드런치 방식 발사 시험을 가진 바 있다.

북한은 화살 계열 순항미사일에 핵탄두 탑재가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30일 미사일총국과 국방과학원, 탐지전자전총국이 구축함 ‘최현함’에 탑재된 무장 체계들의 성능 및 전투 적용성 시험에 착수했다고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30일 미사일총국과 국방과학원, 탐지전자전총국이 구축함 ‘최현함’에 탑재된 무장 체계들의 성능 및 전투 적용성 시험에 착수했다고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김 위원장은 함상무기체계들에 대한 전투 적용성 시험을 신속히 시작한 것을 높이 평가한 뒤 “사업을 계획대로 엄격히 진행해 함의 무장체계들을 빠른 기간 내에 통합운영할 수 있게 완성”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초음속순항미사일과 전략순항미사일, 전술탄도미사일을 비롯해 가장 강력한 타격수단들과 함의 통상적인 방어수단들을 효과적으로 배합 탑재한 우리 식의 함상화력체계가 정말로 훌륭하다”고 치하했다.

김 위원장은 특히 “영해에 침입하는 적이나 격퇴하는 기존 사명의 구축함은 믿음직한 해상방어수단이라고 할 수 없다”면서 “강력한 공격능력을 전제로 하는 주동적이며 공세적인 방어체계를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현존 위협과 전망적인 위협으로부터의 국가방위와 해양주권 수호를 위해 해군의 핵무장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책임적인 선택을 할 때가 됐다”며 제반 과업을 제시했다.


다만 신문은 과업의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북한은 이튿날인 29일에는 함대함 전술유도무기와 함상자동기관포, 연막 및 전자장애포 등의 시험사격을 실시했다.

최현함의 함명은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부친의 이름에서 따왔다.

앞서 북한은 조선인민혁명군(빨치산) 창건기념일인 지난 25일 남포조선소에서 최현함 진수식을 가졌다.

5000t급으로 길이 142m, 폭 22m이며 순항미사일을 비롯한 각종 미사일 발사가 가능한 74개의 수직발사장치를 갖춘 것으로 추정된다.

최현함은 기존 북한이 보유한 함정 중 가장 컸던 압록급 호위함(1500t급)에 비해 3배 이상 크다.

특히 360도 전방위 감시가 가능한 북한판 이지스레이더(위상배열레이더)를 갖춰 북한판 이지스함으로도 불린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30일 미사일총국과 국방과학원, 탐지전자전총국이 구축함 ‘최현함’에 탑재된 무장 체계들의 성능 및 전투 적용성 시험에 착수했다고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30일 미사일총국과 국방과학원, 탐지전자전총국이 구축함 ‘최현함’에 탑재된 무장 체계들의 성능 및 전투 적용성 시험에 착수했다고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일각에선 함대지, 함대공, 함대함 등 다량의 미사일을 탑재한다는 점에서 합동화력함으로 볼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특히 최현함의 위상배열레이더와 복합방공무기체계 등을 볼 때 러시아의 기술 이전 가능성도 거론된다.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위상배열레이더는 러시아의 ‘카라쿠르트급’에 탑재되는 레이더와 배치 형상과 설치 각도 등이 유사하며, 함 방어체계인 복합방공무기체계 역시 러시아의 ‘판치르’와 비슷하다.

유 의원은 “위상배열레이더 탑재방식이나 북한판 판치르 복합방공무기는 러시아제를 복제한 것 같이 형상이 일치한다”며 “우크라이나 참전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첨단 군사기술을 이전받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