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LGU+ 본사, "일부 대리점 일탈… 본사 차원 지침 아니다"
[파이낸셜뉴스] 최근 해킹 공격으로 SK텔레콤의 가입자 유심(USIM) 정보가 탈취된 사건이 일어난 뒤 경쟁사 대리점들이 국민 불안을 마케팅에 활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29일 온라인 커뮤니티엔 한 장의 사진이 돌았다. 가입자 약 2300만명으로 국내 통신사 중 1위인 SK텔레콤에 한참 모자란 1000만명 중반대로 2위 자리를 지키는 KT 매장 앞 'SK 해킹'이라 큼직하게 적힌 입간판이다.
뉴스1은 30일 일부 일선 이동통신 대리점에서 SK텔레콤 해킹 사건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번호이동을 유도하는 마케팅이 성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 |
/사진=뉴스1 |
[파이낸셜뉴스] 최근 해킹 공격으로 SK텔레콤의 가입자 유심(USIM) 정보가 탈취된 사건이 일어난 뒤 경쟁사 대리점들이 국민 불안을 마케팅에 활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29일 온라인 커뮤니티엔 한 장의 사진이 돌았다. 가입자 약 2300만명으로 국내 통신사 중 1위인 SK텔레콤에 한참 모자란 1000만명 중반대로 2위 자리를 지키는 KT 매장 앞 'SK 해킹'이라 큼직하게 적힌 입간판이다.
뉴스1은 30일 일부 일선 이동통신 대리점에서 SK텔레콤 해킹 사건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번호이동을 유도하는 마케팅이 성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입간판 외에도 또 다른 KT 대리점은 블로그 등에 "SK텔레콤 고객 대상 유심 무상 교체 매장"이라며 "유심교체를 못한 SKT 고객에게 KT로 이동시 무상으로 유심교체를 진행해드리겠다"고 홍보했다.
LG유플러스 매장에서도 SK텔레콤 해킹을 활용한 마케팅 사례가 나왔다.
한 LG유플러스 대리점은 "유심 수급 지연시 추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즉시 통신사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등 허위사실까지 포함된 내용으로 고객들의 불안감을 자극하며 손님 끌기에 나섰다.
이들이 마케팅에 나선 데는 유심 해킹 발표 후 SK텔레콤 대응 방식에 실망한 가입자들의 대거 이탈이 현실화 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28일 현재 SK텔레콤에서 번호이동으로 순감한 가입자는 2만5403명이고 이중 65.2%인 1만6570명은 KT로 이동했다. 나머지 8833명은 LG유플러스로 이통사를 바꿨다. 4월 평일 기준 SK텔레콤에서 번호이동으로 나가는 사람은 100~200명에 불과했다.
뉴스1에 따르면 KT와 LG유플러스는 대리점들의 자극적인 마케팅에 '본사 차원 지침은 아니다'라고 선을 긋고 있다. 특히 일부 대리점의 일탈로 인한 관리 어려움도 호소하고 있다.
KT 관계자는 "극히 일부 대리점에서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며 지속적으로 현장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고 말했고 LG유플러스 관계자도 "과도한 영업이나 마케팅으로 인한 이슈 발생을 방지하고자 매장 자체 제작물 점검 및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했다.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마케팅 #해킹 사고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