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구이저우성 다오전현에서 최근 발견돼 외부에 알려진 동굴 내부에서 투자유치를 위한 조사를 진행하던 한 여성이 맨발로 지층을 밟은 채 사진을 찍고 있다. 이 동굴은 4억 8000만년 전 형성된 지층으로 이뤄졌다. 자료 : 베이징완보 |
중국의 한 여성이 동굴에 들어가 약 4억 8000만년 전 형성된 지층을 맨발로 내디딘 채 사진을 찍어 학계로부터 뭇매를 맞고 있다. 이 여성은 “투자유치 조사를 위한 것”이라며 ‘적반하장’식 태도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베이징완보 등 중국 언론에 따르면 지난 27일 중국의 한 기업 투자유치팀이 구이저우성 다오전현 동굴에 들어가 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투자유치팀의 한 여성이 신발과 양말을 벗고 통제구역 안에 들어가 지층 위를 내디뎠다.
이 여성은 지층 위에 앉아 여러 포즈를 취하며 사진을 찍었다. 동굴 탐사를 위한 특수복을 입은 상태지만 맨손과 맨발로 지층 위를 내디딘 채 우아한 자세로 찍은 사진이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확산됐다.
구이저우성 바이윈산 깊은 곳에 위치한 다오전현 동굴은 4억 8000만년전 형성된 오르도비스기 지층으로 이뤄진 동굴로, 존재 자체는 2021년에 알려졌지만 최근 인근 지역에서 농업용 수로 공사를 위해 굴착을 하는 도중 발견돼 지난 13일 공개됐다.
동굴 내부에는 석순과 종유석, 석산호를 비롯해 가느다란 잎이 사방으로 퍼진 모양의 ‘석화’와 동그랗고 하얀색을 띠는 ‘동굴진주’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진 희귀한 지형지물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인근 바이윈산의 지하수가 흘러들어와 동굴 내부의 탄산칼슘을 녹여 이런 지형지물을 만들어낸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지질학회는 “인근 지역 일대에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데다 지하수가 오랜 시간에 걸쳐 여과돼 흘러들어와 동굴 내부 지형지물의 순도가 높다”면서 “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동굴 퇴적물 유전자 보고’”라고 평가했다. 이 같은 특징을 반영해 학계는 이 동굴을 ‘지하수정궁’이라고 부르고 있다.
![]() |
중국 구이저우성 다오전현에서 최근 발견돼 외부에 알려진 동굴 내부에서 투자유치를 위한 조사를 진행하던 한 여성이 맨발로 지층을 밟은 채 사진을 찍고 있다. 이 동굴은 4억 8000만년 전 형성된 지층으로 이뤄졌다. 자료 : 베이징완보 |
이처럼 연구 가치가 높은 미지의 동굴을 맨발로 밟은 여성의 ‘만행’에 학계는 분노했다. 중국지질학회는 “사람의 피부에서 나오는 기름기와 손톱에 칠한 매니큐어 등 화장품이 지층이 수만년 동안 유지해온 화학적 균형을 완전히 깨뜨릴 수 있다”면서 “이로 인해 침전물이 더 이상 성장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학회는 “손가락으로 살짝 건드리기만 해도 수천년에 걸쳐 생성된 결정이 빛을 잃거나 깨져서 영원히 복구할 수 없다”면서 “연구 가치의 손실 규모를 가늠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女 “당국 초대받아, 이미 네 번 들어갔다”
그럼에도 해당 여성은 “투자 유치를 위해 당국의 초대받은 것”이라며 뻔뻔한 태도를 보였다.
이 여성은 “우리 일행은 이미 네 번 동굴에 들어갔고, 머리부터 발끝까지 단단히 ‘무장’했다”면서 “어차피 조사를 위해 동굴에 들어가면 어느 정도 파괴는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다오전현 당국도 이 여성이 동굴의 투자 유치를 위한 조사를 하러 당국의 허가를 받고 동굴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그러나 파장이 커지자 전문가들에게 동굴 내부의 보호를 위해 조언해줄 것을 요청했다고 현지 언론은 전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해당 동굴이 발견돼 공개된 뒤 당국은 동굴 입구를 차단했다. 그럼에도 몇몇 사람들이 동굴 안에 무단 진입하고 있어, 전문가들은 “동굴 내부의 보호를 위해 비전문가의 진입을 막아달라”고 촉구하고 있다.
![]() |
중국 구이저우성 다오전현에서 최근 발견돼 외부에 알려진 동굴 내부를 한 동굴 전문가가 살펴보고 있다. 이 동굴은 4억 8000만년 전 형성된 지층으로 이뤄졌다. 자료 : 신화통신·바이두 백과 |
김소라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