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러, 우크라에 '푸틴과 협상 금지' 법적 제한 해제 요구

속보
美당국자 "연합태세 北·中 억제 기여위해 韓 새정부와 협력기대"
러 외무 "법 무효화하지 않으면 직접 회담 어려워"
푸틴, 전승절 휴전 발표…젤렌스키 "30일 휴전" 요구
[서울=뉴시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서울=뉴시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서울=뉴시스]신정원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러우전쟁 종전을 강하게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는 28일(현지 시간) 우크라이나에 러시아와의 직접 회담을 금지한 법적 조치를 해제하라고 촉구했다. 당사자 간의 직접 협상을 재개하기 위해선 우크라이나가 법적 제한을 먼저 풀어야 한다는 것이다.

타스통신에 따르면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28일(현지 시간) 브라질 언론 인터뷰에서 이 같은 요구 조건을 내세웠다. 라브로프 장관은 브릭스(BRICS) 외무장관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브라질을 방문 중이다.

라브로프 장관은 "2022년 4월 협상을 중단한 것은 우크라이나였다. 우크라이나는 서방 후견인들의 요청에 따라 그렇게 행동했다"고 주장하면서 "그해 9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와의 모든 회담을 금지했고 그 법은 여전히 유효하다. 그 법을 무효화하지 않으면 (직접) 회담을 재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전쟁 초기 비공개로 휴전 협상을 진행했으나 결국 불발됐다. 이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침략을 계속했고 그해 9월 4개 점령 지역(루한스크, 도네츠크, 자포리자, 헤르손)을 강제 병합했다.

그러자 젤렌스키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는 직접 협상하지 않겠다는 법령에 서명, 푸틴 대통령이 아닌 그의 '후임'과 대화하겠다고 공언했었다.

러시아가 이런 법적 제한 해제를 요구하는 것은 미국의 압박 때문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정부는 당초 기대만큼 종전 협상에 속도가 나지 않자 '이번 주'를 미국이 중재를 계속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기로 삼겠다고 경고한 상태다.


러시아는 일단 우크라이나와 직접 협상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도 "푸틴 대통령은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우크라이나와 아무 조건 없이 협상을 시작할 준비가 돼 있다는 의지를 거듭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직접 대화 재개 여부는 우크라이나에 달렸다고 공을 넘겼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그 신호는 우크라이나에서 나와야 한다"며 "하지만 그들은 이 법적 금지에 대해 아직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러시아는 이날 '부활절 30시간 휴전'에 이어 내달 8일 오전 0시~10일 자정까지 전승절 80주년 연휴 '3일(72시간) 휴전'을 또다시 일방적으로 발표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것이 인도주의적인 고려에 의한 것이라고 했지만, 젤렌스키 대통령은 "휴전 조작 시도"라고 비난하면서 "즉각적이고 완전한 30일 휴전"을 요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wshin@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