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고객의 유심 정보가 유출된 SK텔레콤은 아직 해킹 경로도, 피해 규모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미흡한 사후 조치에 집단 소송까지 나서겠다는 소비자가 모이고 있습니다.
정아람 기자입니다.
[기자]
SK텔레콤이 해킹 사실을 처음 인지한 건 지난 18일 밤이지만, 정작 신고가 이뤄진 건 이틀 가까이 지나서였습니다.
24시간 내 신고 의무를 위반한 겁니다.
사전 대응도 미온적이었지만, 사후 대처는 더 심각했습니다.
사태 열흘이 지나도록 해킹 주체는 물론 정확한 피해 규모조차 나오지 않았습니다.
[유영상/SK텔레콤 대표 (지난 25일) : 사고의 원인과 피해 규모를 비롯해 자세한 조사가 나오는 대로 제가 직접 추가 조치 방안 등을 설명해 드리는 자리를…]
결국 유심 무상 교체라는 조치를 꺼내 들었지만, 사실상 아무 대비는 돼 있지 않았습니다.
혹시나 내 고유 정보가 유출됐을까 불안한 가입자들이 주말부터 유심 교체에 나섰지만, 국민 절반에 이르는 가입자에 비하면 유심 물량은 턱없이 부족해 더 큰 혼란을 낳았습니다.
대책으로 나왔던 유심 보호 서비스도 논란입니다.
수십만 명이 몰리며 가입조차 어려운데, 여기다 부가서비스인 유심보호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만 100% 보상을 해주겠다고 하면서 빈축을 사기도 했습니다.
통신사를 옮기겠다는 가입자도 적지 않습니다.
[SK텔레콤 가입자 : (유심 보호) 서비스에 가입하라는 거를 뉴스에서만 접했지 SKT에서는 아무런 통보를 받은 게 없어서 어쨌든 번호이동을 할 예정입니다.]
국회 청원과 공동 대응 홈페이지 개설에 이어, 집단소송에 나서겠다는 가입자도 늘고 있습니다.
[박진형/SKT 해킹 공동 대응단 운영진 : IT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보안에 대한 심각성, 그리고 정책적인 부분에 대해서 이번에 많은 관심을 보이는 게 필요하다고…]
집단 이탈 움직임에 일부 판매점에서는 지원금을 대량 푸는 현상도 나타났습니다.
늑장 대응과 미흡한 사후 조치로 SK텔레콤에 대한 책임론이 거세지는 가운데 일각에선 혼란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신속히 조사 결과를 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김지우/ 영상디자인 최수진]
정아람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