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9년 6월30일 판문점 군사분계선에서 손 잡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머니투데이DB(노동신문)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북미 대화 재개에 대비해 내부 논의를 진행하고 외부 전문가와 협의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27일(현지시간) 미 악시오스는 미국 고위 당국자와 소식통 3명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북한이 현재 트럼프 대통령의 최우선 순위는 아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와 만남을 추진할 가능성을 고려해 미 국가안보팀이 준비 작업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이익을 대표하는 북한 주재 스웨덴 대사가 지난주 미국 당국자 및 전문가와 협의하기 위해 워싱턴을 방문했다. 한 소식통은 이 대사의 방문 목적이 "북한과 대화에 관한 미국 내 분위기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라고 전했다.
국무부와 국가안보회의(NSC) 당국자들도 북한 문제를 다루는 외부 전문가들과 여러 차례 논의를 진행했다. 미 고위 당국자는 매체에 "북한의 현재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여러 기관 관계자를 소집하고 있다"며 "지난 4년 동안 많은 것이 변했기 때문에 여러 잠재적인 방안을 평가·진단하고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논의 주제에는 북한과 대화가 재개될 경우 북한 측에서 누가 나올지도 포함됐다. 악시오스는 "트럼프 1기 시절 미국과 외교에 관여한 북한 당국자 대부분은 숙청되거나 재교육에 처해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들은 북한과의 대화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관심을 끄는 데는 '화려한 편지' 한 통만 있으면 된다고 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행정부 시절 김정은 총비서와 서신을 27통 주고받았다.
하지만 북한의 입장은 달라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미국 싱크탱크인 스팀슨 센터 한국 프로그램 담당자인 제니 타운은 "북한은 대미 외교를 담당할 새로운 특사를 지명하지 않았고, 오랫동안 미국과 협상에 관심을 표명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 전직 고위 당국자는 "과거 대화는 비핵화에 초점을 맞췄지만 현재 김정은은 이를 진지하게 받아들일 가능성이 낮다"며 현재 북한에서 핵보유국 지위가 중요한 문제라고 짚었다. 반면 대화 초점을 군비 축소에 맞추고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방향으로 간다면 북한 쪽에서도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이 경우 한국과 일본의 자체 핵무장론에 힘이 실릴 수 있다고 봤다.
악시오스는 "트럼프 1기에서 북한에 대한 중국의 압력이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더 이상 중국은 트럼프를 대신해 북한을 압박하는 데 관심이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며 "북한은 우크라이나 전쟁에 군대를 파견한 뒤 강력한 동맹인 러시아와 관계를 더 돈독히 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북한의 핵 개발 진전과 외교 입지 강화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1기 시절과 같은 영향력을 행사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행정부 시절 김정은 총비서와 두 번의 공식 정상회담과 즉흥적으로 이뤄진 판문점 회담 등 총 세 차례 만났다. 이에 2기 행정부에서 대북 대화가 재개될지 관심이 모아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뉴클리어 파워'(핵능력 보유국)로 부르며 북미 대화 재개 의지를 밝혀왔다. 그는 지난달 '김 총비서와 관계를 다시 구축할 계획이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트럼프의 '뉴클리어 파워' 언급으로 한때 미국의 북핵 정책에 변화가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지만 백악관은 지난달 북한에 대한 완전 비핵화 추진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영민 기자 letswi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