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형연료 소각시 인근 지역 대기환경 오염 우려"
업체 "적법과정 거쳐 문제없고 지역 활성화 기대"
![]() |
바이오매스 발전시설(SRF) 건립을 반대하는 주민 집회가 28일 정읍시청 앞에서 열렸다.2025.4.28/뉴스1ⓒ News1 박제철 기자 |
(정읍=뉴스1) 박제철 기자 = 전북 정읍시 영파동 제1일반산업단지에 대한 바이오매스 발전시설(SRF) 건립을 반대하는 주민 집회가 28일 정읍시청 앞에서 열렸다.
정읍시 화력발전소 반대 대책위원회는 이날 시청 앞에서 농소동, 덕천면 지역 14개 마을 주민 3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쓰레기 고형연료 화력발전소' 설치를 반대하는 정읍시민 대회를 개최했다.
이들은 "주민 동의를 조작하고, 밀실 허가, 꼼수 추진하는 정읍 그린파 바이오 쓰레기 고형연료(SRF) 발전시설 허가 과정을 철저하게 조사하고, 전면 백지화로 쾌적하게 살아갈 수 있는 시민의 환경 권리를 보장하라"며 사업 중단을 촉구했다.
한국 남부발전과 금화피에스시, 아르고마린이 공동 투자한 정읍 그린파워는 가연성 목질계 쓰레기 고형연료(바이오 SRF)를 소각해 주변 공장에 열원(스팀)을 공급하고, 21.9메가와트(㎿) 전력을 생산하는 전기 발전시설이다. 정읍시 영파동 정읍 제1 일반산업단지에 오는 2027년까지 화력발전 시설로 건립될 계획이다.
![]() |
바이오매스 발전시설(SRF) 건립을 반대하는 주민 집회가 28일 정읍시청 앞에서 열렸다.2025.4.28/뉴스1ⓒ News1 박제철 기자 |
그러나 주민들은 "화력발전소가 가동되면 고형물 소각으로 인해 농소동·덕천면 주민들뿐만 아니라 각종 대기오염물질이 시내 전체까지 영향을 끼쳐 정읍시에 심각한 환경오염을 불러올 것이다"며 즉각적인 공사 중지를 촉구했다.
주민들은 발전소 인허가 과정에서 주민 동의를 조작하고, 실체도 없는 단체와 협약을 근거로 산단 실시계획 변경(업종 변경)을 하고 입주 계약을 체결했다며 절차상 위법성 등 문제도 제기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민선 8기 이전에 진행되었던 사업으로 산자부, 전북도, 시의 인허가 절차가 완료된 상황에서 현재로서는 명확한 해결 방안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업체 측도 "통합환경인허가를 받아 관계기관으로부터 법적 기준을 충족했다"면서 "주민들과 다양한 내용의 대화를 할 용의는 있지만 공사 중단은 수용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업체 측은 "전기는 한전에 전량 판매되고 발생 증기 20톤은 주변 팜스코, 세림현미, 이맥솔루션 등 3개 사에 저렴하게 공급한다"며 "이로 인해 향후 지역주민 50여명 고용효과 노후화된 산업단지 활성화로 주민 소득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jcpark@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