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국민의힘 ‘2강 압축’ 하루 전…막판 표심 견인에 총력

서울구름많음 / 18.4 °
29일 오후 2시 ‘2강 진출자’ 확정
과반 득표시 최종 후보로 직행
한·안 후보, 충청지역 방문해 민심 공략
김·홍 후보, 언론 인터뷰 등 공중 여론전
[이데일리 박민 기자]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 4명(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 중 단 2명의 후보만 살아남는 ‘2차 예비경선(컷오프)’가 29일 실시된다. 당심(당원투표)과 민심(국민 여론조사)을 절반씩 반영해 진출자를 가리는 이번 컷오프를 앞두고 후보들은 각기 다른 전략으로 막판 표심 견인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 예비후보 (자료=국회사진취재단)

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 예비후보 (자료=국회사진취재단)




28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당 선거관리위원회는 29일 오후 2시 ‘2차 경선 진출자’ 2명을 발표한다. 이를 위해 전날부터 시작한 당원 선거인단 투표(50%)와 국민 여론조사(50%)를 이날까지 진행하고 마감한다. 만약 과반 득표자가나오면 3차 경선 없이 국민의힘 최종 대선후보가 선출된다. 반대로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으면 1·2위 득표자 간 최종 경선으로 이어진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가 28일 오전 국민의힘 대전시당을 찾아 당원 간담회를 마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가 28일 오전 국민의힘 대전시당을 찾아 당원 간담회를 마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당심과 민심을 반반씩 고려한다고 하지만, 민심에서 국민의힘 지지자나 무당층에만 여론조사 응답 기회를 주는 ‘역선택 방지조항’이 적용되면서 사실상 당 지지층의 의중이 큰 영향력을 미칠 전망이다. 이에 각 후보들로 당원들의 표심이 분산되면서 과반 득표자가 나오기보다 2강전이 될 가능성이 클 것이라는 게 당 안팎의 중론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누가 2강으로 올라가느냐에 따라 최종 경선의 성격을 좌우하는 것은 물론 향후 이재명 전 대표와의 본선 경쟁 구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특히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공직에서 물러나 출마 가능성이 점쳐지는 만큼 ‘단일화 변수’를 놓고 후보간 치열한 수싸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안철수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가 28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참배를 마친 뒤 이동하고 있다. (사진=안철수 캠프)

안철수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가 28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참배를 마친 뒤 이동하고 있다. (사진=안철수 캠프)


국민의힘 4명의 후보들은 2차 컷오프를 하루 앞두고 각기 다른 전략으로 막판 지지를 호소했다. 한동훈·안철수 후보는 나란히 충청을 찾아 지역 중도 표심 공략에 나섰다. 김문수·홍준표 후보는 별도 지역 일정을 잡지 않고 언론 인터뷰 등 공중 여론전을 펼쳤다.

한 후보는 이날 충남 아산 현충사를 찾아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에 참배한 뒤 ‘핵추진잠수함 및 핵잠재력 확보’ 등을 골자로 한 국방정책을 발표했다. 이어 대전으로 이동해 국민의힘 대전시당 당원들과 간담회를 하고, 충북 청주로 다시 이동해 육거리종합시장에서 시민들을 만났다.


안 후보도 이날 오전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서해수호영웅과 채 상병 묘소를 참배하고 ‘대전·세종·충청’을 과학기술 수도로 육성하는 내용의 지역 공약을 발표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시국 선언을 냈던 충북대 학생 대표단과의 간담회도 진행했다.

‘찬탄’(탄핵 찬성)파로 중도 확장성을 내세운 두 후보가 나란히 충청을 찾은 것은 중도 민심 확보를 위한 행보로 해석된다. 충청권은 중도 민심의 풍향계로 불릴 만큼 특정 진영에 일방적으로 쏠리지 않고, 정국 흐름과 후보자 경쟁력에 따라 유동적으로 움직여왔기 때문이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가 28일 서울 여의도 자신의 캠프 사무실에서 김 후보 지지를 선언한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과 이미 캠프에 합류한 의원들과 손을 들어 기념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힘 장동혁, 김미애, 김 후보, 엄태영 의원. (사진=연합뉴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가 28일 서울 여의도 자신의 캠프 사무실에서 김 후보 지지를 선언한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과 이미 캠프에 합류한 의원들과 손을 들어 기념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힘 장동혁, 김미애, 김 후보, 엄태영 의원. (사진=연합뉴스)


반면 김·홍 후보는 이날 별도 지역 일정을 잡지 않고 언론 인터뷰 등 공중 여론전에 집중했다. 김 후보는 ‘수출 5대 강국 도약’ 공약을 발표하고 인터뷰 일정을 소화했다. 홍 후보 또한 서울 여의도에 있는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간담회를 열어 중소기업인들의 목소리를 경청한 이후 방송 등 언론 인터뷰를 이어갔다. 특히 두 후보 모두 ‘한덕수 단일화·반(反)이재명 빅텐트론’을 주장하며 당원 표심 확보에 사활을 건 분위기다.


한편, 이날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23~25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5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공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의힘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김 후보가 19.7%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한동훈 후보가 17.4%, 홍준표 후보가 15.1%, 안철수 후보가 11.8%로 뒤를 이었다.

다만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 사이에서는 김 후보의 지지율이 32.7%, 한 후보는 23%로 나타났다. 홍 후보는 22.7%, 안 후보는 6.5%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무선(100%) 자동응답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5%p, 응답률은 7.3%다.

홍준표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8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를 방문해 중소기업들의 건의 사항이 담긴 제언서를 김기문 중기중앙회 회장에게 받은 뒤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홍준표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8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를 방문해 중소기업들의 건의 사항이 담긴 제언서를 김기문 중기중앙회 회장에게 받은 뒤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