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인투셀, 차세대 ADC 플랫폼으로 항암 기전 다양화·약효 강화 목표

서울구름많음 / 19.0 °
박태교 인투셀(IntoCell) 대표이사가 28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인투셀 기업설명회'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2025.04.28[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박태교 인투셀(IntoCell) 대표이사가 28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인투셀 기업설명회'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2025.04.28[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연구개발(R&D) 기업인 인투셀이 글로벌 시장 선도를 목표로 차별화된 ADC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박태교 인투셀 대표이사는 28일 여의도 콘래드 호텔 서울에서 열린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인투셀은 2015년에 설립됐으며, 다음 달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있다.

ADC는 암세포를 찾아내는 항체와 암세포를 파괴하는 약물을 링커로 연결해 만든 차세대 항암제다.

박 대표이사는 차세대 ADC 개발을 위해 신규 링커와 약물 플랫폼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낮은 독성을 가진 약물 링커, 약물 다양화를 통한 내성 극복, 적응증 확대 등 차세대 ADC가 갖춘 특징이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투셀의 대표 기술로는 '오파스(OHPAS™) 링커'를 꼽았다. 오파스는 기존 링커가 아민 계열 약물에만 적용됐던 한계를 넘어 페놀 계열 약물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이 기술은 혈액 내 높은 안정성을 갖췄고, 암세포 내에서 선택적으로 약물을 절단해 부작용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박 대표이사는 아민과 페놀 등 다양한 약물에 오파스 기술을 적용할 수 있어 항암 기전을 다양화하고 약효를 강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핵심 플랫폼으로는 ‘PMT™’ 기술을 소개했다. 이 기술은 약물이 정상 세포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억제해 비선택적 흡수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박 대표이사는 “인투셀이 지금까지 의미 있는 기술사업화 성과를 거뒀다”며 “상장 이후에는 재무 안정성과 주주가치 제고에도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아주경제=홍승우 기자 hongscoop@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